감염 경로가 불분명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입국자 제한과 접촉자 격리 등을 통한 1차 방역이 실패했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지역사회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장 방역당국이 민간 의료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강화해 조기 진단 및 치료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8일 대한의사협회는 1차 의료기관의 현실에 부합하는 방역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민관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최대집 의협 회장은 이날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한 1차 방역은 실패했다”며 “지금까지 환자를 담당해온 보건소와 선별진료소 설치 의료기관만으로는 늘어날 검사 대상을 감당하기 어려운 만큼 본격적인 지역사회 감염 확산 국면에서 최전선이 될 지역사회 2차 의료기관 및 중소병원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는 민관 협의체의 즉각적 구성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감염원이 파악되지 않은 확진자는 29·30번 부부 확진자와 31번 확진자 등 3명이다. 이 확진자들은 해외여행 이력이 없을 뿐 아니라 다른 확진자·접촉자와 접촉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일부는 확진 판정을 받기 전 동네 병원을 수차례 방문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1차 의료기관이 감염지가 될 가능성도 커졌다.
의료계가 민간 의료기관과의 협력 강화를 촉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기석 한림대 교수는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됐다고 봐야 한다”며 “코로나19를 호흡기 바이러스로 등재해 병원에서 일상적인 체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된 만큼 자가격리 등의 방법으로 감염원을 원천 봉쇄하는 것은 불가능한 만큼 의심환자에 대한 진단이 조기에 이뤄지고 이를 통해 치료도 신속히 진행될 수 있는 의료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질병관리본부장을 지낸 전병률 차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조기 진단, 조기 치료를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 병원이 협조 체계를 강화하는 게 필요하다”며 “1차 병원에서 환자 거부를 안 하고 선별진료소와 거점 병원으로 잘 인도하고 지방 병원과 공공의료 기관들이 책임지고 환자를 볼 수 있도록 정부가 보상체계 등 유인책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재욱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 또한 “기존의 방역망은 지역사회 감염 앞에서는 무용지물”이라며 “간이 진단검사 키트를 조속히 개발·보급해 전국 의료기관이 (코로나19 확진자를) 조기 진단하는 식으로 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지영기자 jik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