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 입소 대상은 현재 대구의료원·동산병원 등 대구·경북 의료기관에 입원했던 확진자 가운데 건강 상태가 안정적인 경증 환자(만성질환이 없는 55세 이하, 맥박·혈압·호흡 수·체온 정상) 등이다. 입소자에게는 산소포화도·혈압·맥박 측정기기 등이 제공된다.
센터에는 현재 전문의 4명, 간호사 7명, 방사선사 2명이 배치돼 환자 모니터링과 응급상황 대응 등을 지원한다. 이틀에 한 번 흉부 X-레이를 찍고 마지막 발열 72시간 이후 2일 간격으로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 완치 여부를 판단한다. 중증·응급환자가 발생하면 인근 충북대병원으로 이송 조치한다.
서울대병원은 서울의 ‘중앙 모니터링 본부’에서 환자들의 산소포화도·맥박 등 측정 결과를 하루 2회 전송받아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환자들이 제출한 자가기록지를 바탕으로 센터 의료진·입소자와 원격으로 화상 상담을 할 계획이다. 불안·우울감 해소를 위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도 한다. 이를 위해 본부에 전문의 4명, 간호사 12명 등을 배치했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