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군의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자가 진단 및 확진자 중증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했다.
국군의무사령부는 11일 국방의료정보체계(DEMIS) 성능개선TF팀의 진료정보담당 허준녕 대위가 지난 6일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 할 대상인지를 스스로 측정할 수 있는 ‘코로나19 체크업’ 앱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될 때 이 앱을 이용해 자신의 증상 항목을 체크하면 선별진료소나 보건소의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할 대상인지를 알려준다.
국군의무사는 “이 앱을 활용하면 자신의 증상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며 “증상의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는 환자는 선별진료소로 안내해 주는 기능도 있어 현장 문진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고 전했다.
허 대위는 사비를 들여 이 앱을 플레이스토어 등록 신청을 한 상태고, 약 1주일간의 심사를 거쳐 승인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허 대위는 지난 2일에는 ‘코로나19 환자 중증도 분류 앱’도 개발했다. 이 앱은 환자 중증도를 판정하는 진료시간과 오류 가능성을 감소시켜 진단 신뢰도를 높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허 대위는 동료 군의관들이 환자 진료 때 코로나19 환자의 중증도(무증상, 경증, 중증, 위중) 분류 지침을 일일이 살펴보면서 진단하는 것을 보고 좀 더 편리한 방법을 찾기 위해 앱 개발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한 동료 군의관은 이 앱을 사용한 뒤 “복잡한 중증도 분류 지침을 분석해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며 “모든 의료진이 보다 편리하게 환자의 중증도 분류를 할 수 있어 의료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시점에 꼭 필요한 앱”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환자 중증도 분류 앱’은 이미 승인을 마친 상태로, 현재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허 대위는 “코로나19 현장에 자원한 모든 군의관 및 공보의 선·후배, 동료들에게 작게나마 도움을 드리고 싶어 앱을 만들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허 대위는 의대 재학 시절, 함께 공부하는 학생을 위해 ‘스터디 메이트’라는 앱을 만들었고, 지난 2012년에는 골든타임이 중요한 뇌졸중 환자에게 주변 응급실 위치를 신속하게 알려주는 ‘뇌졸중 119’ 앱도 개발한 바 있다.
/추승현기자 chush@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