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큰 문제는 일자리 사정이 갈수록 나빠질 것이라는 점이다. 내수가 얼어붙고 수출마저 차질을 빚으면서 직원을 줄이거나 신규 채용을 중단하는 기업들이 한둘이 아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4곳 중 1곳은 상반기 채용을 줄이거나 동결하겠다고 응답했다. 반면 채용을 늘리겠다는 곳은 5.6%에 불과했다.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빈사상태에 빠져든 기업들로서는 일자리 만들기에 엄두도 못 낸다는 것이다. 이미 산업현장에서는 조업을 중단하거나 문을 닫는 기업들이 속출하고 있다. 업계 5위의 흥아해운은 경영난을 견디지 못해 채권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했고 두산중공업도 결국 휴업을 검토하고 있다.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기업이 문을 닫고 소중한 일자리가 사라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례 없는 코로나발 복합위기에서는 대처 방식도 과거와 확연히 달라야 한다. 무엇보다 정책 불확실성을 없애고 경제주체들의 불안 심리를 덜어주는 선제 대응이 절실하다. 그러자면 기업들이 위험을 떠안고 투자와 고용에 나설 수 있도록 규제에 가로막힌 사업 장벽을 풀고 한시적으로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부여해야 한다. 비상시국인 만큼 주 52시간 근로제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노동 유연성을 높이는 한편 친노정책을 과감히 폐기해야 한다. 청와대는 조만간 기업인들을 초청해 위기극복을 위한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이번에는 공허한 말 잔치에 그치지 말고 기업의 기를 살릴 수 있도록 획기적인 경영환경 개선책을 내놓기를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