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에서는 ‘대리 게임’ 논란에 휩싸인 류호정 화학섬유식품노조 선전홍보부장이 비례대표 1번을 받는 등 민주노총 출신이 대거 공천됐다. 노조 출신 인사들의 출마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들 대부분이 당선될 경우 21대 국회에는 20대 국회(17명)를 넘어서는 역대 최다 규모의 노동계 출신이 입성할 가능성이 있다. 20대 국회가 친노조 입법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을 만들었다는 지적이 많았는데 앞으로 더 편향된 입법이 쏟아지지 않을지 걱정된다. 물론 노조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을 지닌 노동계 인사가 국회에 들어가 노동자 권익 보호에 나서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다만 전제가 있다. 국회는 노동 현안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정책을 다루는 곳인 만큼 의원은 균형감각을 갖춰야 한다. 노동정책은 노동계뿐 아니라 경제계와 각계각층의 국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의견조율을 통해 결정되고 집행된다. 노조 출신이라도 이념과 계층 논리를 넘어 경제 전반을 고려하는 종합적 판단을 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런 유연한 접근을 하는 노조 출신 의원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노동존중’을 외치면서 ‘노조존중’에만 몰두하지 않았는지 되돌아봐야 한다. 이번에 여의도에 입성하는 노조 출신은 친정인 노조의 이해보다 나라 경제와 국익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이들이 나무보다 숲을 봐야 경제를 살릴 희망의 불씨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