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항만물류국 4개 부서 중 철도정책과, 철도운영과, 철도건설과 등 3개 부서가 북부청사로 옮겼으며 물류항만정책을 담당하는 물류항만과는 평택항만공사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수원에 남는다. 이에 따라 교통국, 건설국, 철도항만물류국 등 사회간접자본(SOC)과 관련한 부서가 북부청사에 모이게 됐다.
이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평소 애착을 갖고 추진 중인 경기북부 균형발전에 대한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특히 민선7기 들어 그동안 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북부지역 철도 SOC를 확충하고, 한반도 평화시대에 대비해 경기도를 동북아 철도공동체의 출발지로 삼겠다는 계획에 따라 이전 결정을 내렸다.
현재 경기북부에는 총 연장 12.8㎞의 별내선(서울 암사~남양주 별내)과 도봉산~옥정선(서울 도봉산~양주 고읍·15.3㎞), 지난해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에 따라 예비타당성 면제사업으로 확정됐던 옥정~포천선(양주 옥정~포천시·17.5㎞) 등과 같은 대형 철도건설 사업들이다수 진행되고 있다. 또 국토교통부가 수립을 추진 중인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경기도가 신규 반영을 요청했던 총 46개 사업 중 22개 사업이 경기북부 지역을 위한 노선들이다.
도는 이번 북부 이전으로 이 같은 사업들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행정적 기반을 공고히 다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밖에도 광역철도 국가시행 사업으로 추진 중인 남양주 진접선(당고개~진접·14.9㎞)의 원활한 추진이나 교외선(의정부~능곡·31.8㎞) 운행 재개 등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홍지선 경기도 철도항만물류국장은 “지금까지 각종 개발제한으로 많은 희생을 감내해온 경기북부가 사통팔달의 교통중심이 되도록 철도행정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향후 수도권 철도망의 수요 확대에 대비해 모든 사업이 계획대로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기관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업무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