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계속되면서 실업률 급증으로 인한 실물경체 침체가 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빨라지는 미국의 경우 상반기에만 1,00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분석까지 나왔다. 실업률 확대는 직장을 잃은 근로자들의 생존을 위협할 뿐 아니라 소득감소와 수요 침체, 고용 재악화로 이어져 경제 악순환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파장이 클 수 있다.
25일(현지시간) CNN과 뉴스위크 등에 따르면 미국 싱크탱크인 경제정책연구소(EPI)는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여름 전까지 최소 1,4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EPI에 따르면 이는 미국의 민간 부문 전체 일자리의 10%를 웃도는 수준으로 전국 모든 주에서 최소 9.5%의 실업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정부가 1조달러의 경기부양책을 쓰는 것을 가정한 상태에서 추정한 수치다.
가장 충격을 받을 곳으로는 레저·소매 분야의 비중이 큰 네바다·몬태나·하와이주가 꼽혔다. EPI는 “미국을 합리적인 경제 건전성을 가질 정도로 회복시키려면 올해까지 최소 2조1,000억달러의 연방 부양책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며 “2조달러의 경기부양책이 통과된다면 손실의 일부를 경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러한 조치들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몇 달 동안 실직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며 “연방 조치 외에 주와 지방정부도 이 기간 근로자들과 그 가족들이 경제적으로 고통받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우려는 이미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 이날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3월15~21일) 실업수당청구 건수가 기존 예상(164만건)의 2 배인 328만3,000건에 달했기 때문이다. 토르스텐 슬로크 도이체방크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여러 면에서 참담하다”며 “청구 건수는 비용을 절감하려는 기업들이 이미 성장과 노동시장 양쪽 모두에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미국 월가에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 충격이 현실화하는 첫 지표로 이번 실업수당청구 건수 급증을 지목했다.
전문가들은 실제 노동시장은 이날 발표된 수치보다 나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지난 한주간 새로 실업수당을 청구하려는 이들로 인해 웹사이트가 마비되고 노동기관이 과부하를 일으키기도 했다고 말했다. 마사 김벨 슈미트선물 노동 이코노미스트도 “가장 중요한 점은 이 숫자가 실제로 고통받는 사람 수보다 적다는 것”이라며 청구 건수는 실업수당을 청구할 수 있는 사람들만 반영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해고되는 대신 근무시간을 단축하거나 실업수당 청구 자격이 없는 사람들, 웹사이트 마비 등으로 실업수당을 신청하지 못한 사람들 등은 제외됐다는 설명이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실업률 지표 악화 추세가 이번주에 그치지 않고 수개월 이상 장기화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주지사는 지난 13일 이후 캘리포니아에서만 100만건의 실업수당청구가 접수됐다고 말했다. 캘리포니아주에서 100만건의 실업수당청구가 발생했다는 것은 코로나19의 충격이 예상보다 훨씬 크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날 발표된 캘리포니아주의 청구가 18만6,800건인 점으로 미뤄볼 때 청구 건수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실업수당청구 건수 급증은 실제 실업률 지표에 고스란히 반영될 가능성도 짙다. 이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코로나19 상황이 현재와 같은 추세로 진행된다면 실업률은 30%로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지난달 미국의 실업률이 3.5%였던 점을 고려하면 충격적인 수치다. 영국 가디언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 충격이 단기간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며 “실업률이 높아지면 결국 소득감소로 인한 소비침체와 이에 따른 고용감소 등으로 경제가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연하기자 yeo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