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직격탄을 맞은 공연예술업계가 정부의 지원 촉구를 비롯한 공동 대응 방안 모색을 위한 ‘연대 회의’ 결성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단일 창구 없이 개별 단체나 제작사 차원의 각개전투가 이어지다 보니 지원을 비롯한 업계의 목소리를 효율적으로 내는 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1일 공연예술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소극장협회와 한국뮤지컬협회, 공연프로듀서협회 등 공연 관련 단체들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연대 회의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실무 차원의 단일창구 형성을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 한 뮤지컬 제작자는 “제작사나 소단체의 개별·산발적인 대응보다는 대표성 있는 하나의 창구를 통해 좀 더 원활하게 정부 및 관련 기관과 협의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재는 대학로를 중심으로 타격이 가장 큰 소극장협회를 통해 공연 시장의 어려운 현실이 그나마 알려지고, 지원 촉구 등이 이뤄지고 있다. 이 제작자는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는데, 지금 같은 각개전투의 방식으로는 업계의 현실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다”며 공동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3월 한 달간 연극, 뮤지컬, 클래식, 오페라, 무용, 국악 등을 포함한 전체 공연 매출액은 89억3,700만원으로 1월(404억4,400만원)의 4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사람들이 폐쇄된 공간에 모일 수밖에 없는 공연 관람의 특성상 코로나 19와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른 직격탄을 맞은 셈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한목소리 내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장르별 대표 기관(협회)의 명확한 역할 부여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장르별 피해 규모나 상황이 다른 만큼 ‘하나의 큰 목소리’와 ‘이익집단별 상황 파악’이 유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원종원 뮤지컬 평론가는 “공연이라 해도 장르별로 추구하는 바와 시급한 지원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를 수밖에 없다”며 “각 협회가 해당 장르에서의 피해 상황과 자신들에게 적합한 지원책을 수집하면 이를 종합해서 정부에 대책과 대안을 요구하는 흐름의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송주희기자 ss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