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글자판, 시각지원판’은 코로나19 검사진행 과정에서 청각장애인, 난청 노인, 외국인 등 말로 의사를 표현하기 어려운 사람이 그림이나 글자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의료진에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의사소통 보완 기구다.
도와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언어치료AAC센터 사람과 소통이 함께 협력해 의료진이 검진자의 현재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그림으로 만들었다. 또 영어판과 중국어판을 통해 외국인들의 의사소통 편리성을 높였으며, 비장애인도 시각적 자료를 통해 검사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그림·글자판은 모두 2장으로 한글 자·모음 글자와 검진자의 현재 몸 상태를 표현해 진료과정에서 의료진과의 문답 시 사용할 수 있다. 시각지원판은 총 12장으로 접수과정과 검진 내용을 표현한 그림을 통해 검진자가 진료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박노극 경기도 장애인복지과장은 “‘그림·글자판, 시각지원판’이 장애인, 외국인뿐 아니라 비장애인 진료에도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 있다”며 “의료진과 의심환자 모두 침방울(비말)에 의한 감염 위험을 크게 낮출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