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는 청와대와 정부가 대선공약이라며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명분으로 삼아 노사민정 대타협을 이끌어낸 사업이다. 노동계는 임금을 일정 수준 양보하고 각종 세제혜택까지 내세워 현대자동차의 투자를 어렵게 이끌어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노사민정 대표들과 협약을 맺기도 했다. 그런데도 노동계는 노동이사제 도입이나 임원 임명 등 기업 경영에 부담을 주는 무리한 요구를 굽히지 않았다. 노조가 기업을 쥐고 흔들겠다며 현실성이 떨어지는 주장을 일삼았으니 예고된 파국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식이라면 광주형 일자리에 이어 전국에서 등장했던 다른 사업의 미래도 예상하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도를 넘은 노동계의 행태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민주노총은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해고금지·고용유지 등 특단의 조치를 요구하고 나섰다. 벼랑에 몰린 기업 현실은 외면한 채 자신들의 목소리만 키우겠다는 처사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해고자 복직과 특별위로금을 요구하고 있다. 르노삼성 노조도 때아닌 격려금 지급을 촉구하고 있다. 미증유의 위기를 맞아 노사가 한마음으로 뭉쳐도 부족할 판국에 밥그릇부터 챙기겠다는 발상이 아닐 수 없다. 노동계는 기업이 살아야 일자리도 지킨다는 사실을 깨닫고 고통분담에 나서야 한다. 정부도 더 이상 눈치만 보지 말고 위기극복에 동참하는 노동계의 역할을 일깨워줘야 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