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부촌으로 일컬어지던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와 용산 등 서울 아파트시장 가격상승세를 리딩했던 선도지역에서 고가주택의 거래비중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제한과 더불어 보유세 강화, 자금출처 조사 등 연이어 발표된 강력한 규제가 수요자들에게 압박으로 다가온 것으로 보인다.
20일 직방이 거래시장이 2019년과 12.16대책 직후인 2020년(2020년 4월 16일 공개자료 기준, 3월까지 거래량)의 서울 15억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을 살펴본 결과 서초구가 16.3%포인트(53.8%→37.5%), 용산이 9.4%포인트(32.9%→23.5%) 감소했다. 강남과 송파도 각각 8.0%포인트, 5.8%포인트 하락해 기타 자치구보다 하락세가 두드러진 모습이다.
반면 9억원 초과 15억원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4.4%포인트 감소한 강남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며 대조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까지 해당 금액대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곳은 마포·동작·성동·광진이었지만, 15억을 넘기는 고가주택에 대한 매수세가 감소하면서 강남3구 및 용산에서 그 비중을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강남3구와 용산 등 주요지역에서의 고가주택 거래비중이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고가주택 거래는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다. 올해 강남 아파트의 평균거래가격은 16억원으로 서초 13억8,000만원, 용산 12억7,000만원, 송파 11억2,000만원 등과 함께 10억원을 넘어섰다. 다만 초고가주택 거래 비중은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모습이다. 거래가격 기준 10분위 가격분포를 살펴보면 상위 10% 가격하한선은 지난해 15억5,000만원이었지만 올해 11억2,000만원으로 다소 조정된 모습을 보였다.
한편 같은 기간 거래가격 상위 10%에 해당하는 아파트가 위치한 지역도 조정됐다. 지난해 기준 거래가격 상위 10%에 해당하는 아파트들의 입지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남 37.0%, 서초 22.0%, 송파 21.4%, 용산 6.3%로 쏠림현상을 보였다. 하지만 올해는 강남 17.8%, 송파 16.1%, 서초 12.7%, 용산 5.8%로 이들 지역의 상위 10% 아파트 비중이 52.4%로 대폭 축소된 반면 성동 9.4% 영등포 5.9% 동작 5.2% 마포 5.1% 등 신축아파트가 입주한 지역들의 비중이 대거 올랐다.
/권혁준기자 awlkwo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