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통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한 남측 연락을 사상 처음으로 무시하면서 우리 정부를 하루 종일 긴장시켰다. 대남사업 총책임자인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이 대북전단 살포를 빌미로 보복조치를 지시한 가운데 사무소를 볼모로 삼아 이른바 ‘밀당(밀고 당기기)’에 나선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은 8일 오전9시 남측의 연락을 받지 않았다가 오후5시 다시 평소대로 통화했다. 북한은 통화가 재개된 상황에서 오전에 통화가 되지 않은 이유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공동연락사무소 오후 연락 협의는 평소대로 진행됐다”며 “오전 상황에 대해 북측은 별도 언급이 없었다”고 밝혔다.
“단단히 각오는 해두어야 할 것”
北김여정 보복조치 현실화
북한이 남측의 연락을 받지 않은 것은 지난 2018년 9월14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사무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1월30일부터 잠정 폐쇄됐으나 남북은 현재까지 전화·팩스선을 사용해 하루 두 차례 연락을 이어왔다. 통일부는 이달부터 연락사무소 사무 시스템을 통째로 업그레이드해 교체할 계획까지 세운 상태다.
김여정은 앞서 4일 노동신문에 담화를 내 탈북자들의 대북전단 살포에 불쾌감을 드러내면서 “남조선당국이 응분의 조처를 따라세우지 못한다면 그것이 금강산관광 폐지에 이어 쓸모없이 버림받고 있는 개성공업지구의 완전철거가 될지, 있어야 시끄럽기밖에 더하지 않은 북남공동련락사무소 폐쇄가 될지, 있으나 마나 한 북남군사합의 파기가 될지 하여튼 단단히 각오는 해두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 통일전선부 대변인은 다음날 담화에서 “김 제1부부장은 대남사업 부문에서 담화문에 지적한 내용들을 실무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검토사업에 착수할 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압박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또 이날 “반공화국 삐라 살포 행위는 그 무엇으로도 변명할 수 없는 우리에 대한 악랄한 정치적 도발이고, 특히 우리의 최고 존엄과 체제를 중상모독하는 행위는 가장 첫째가는 적대 행위”라며 “사실상 총포사격 도발보다 더 엄중한 최대최악의 도발”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매체들도 탈북자들을 규탄하는 대규모 관제집회 사실을 알리며 여론몰이에 나섰다.
내부결속 다지는 김정은 |
대북전단 살포 문제로 남북관계가 살얼음판을 걷는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정치국회의를 지난 7일 열어 주목된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8일 “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13차 정치국 회의가 6월7일 진행됐다”면서 “나라의 자립경제를 더욱 발전시키며 인민들의 생활을 향상하는 데서 나서는 일련의 중대한 문제들이 심도 있게 토의됐다”고 전했다.
정치국회의서 인민생활 향상 강조
코로나 등 심각한 경제난 반영한듯
보름 만에 다시 공개 행보를 보인 김 위원장은 이날 회의를 주재하며 재차 건재함을 과시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24일 노동당 중앙군사위 제7기 제4차 확대회의를 주재한 후 잠행에 들어갔다.
정치국 회의는 △화학공업 발전 △평양시민 생활 보장 △현행 당 규약 개정 △조직(인사) 문제 등 대북전단 살포 관련 대남정책보다 내정에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뤘다.
회의 내용이 주로 경제발전과 민생 안정에 초점을 맞춰진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흉흉해진 민심을 달래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실제 김 위원장은 경제활성화를 위해 화학공업의 육성을 강조했다. 신문은 김 위원장이 회의에서 “화학공업은 공업의 기초이고 인민경제의 주타격전선”이라고 강조했으며 화학공업 전반의 주체화·현대화를 위한 구상과 의지를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국산 원료·자재를 토대로 한 다방면적인 생산체계 구축, 국가적인 과학연구 역량 강화, 인재 양성 등을 과제로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또 평양시민의 생활 보장을 위해 시급한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지적했으며 살림집(주택) 건설 등 인민생활 보장과 관련한 국가적인 대책을 주문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대북전단 살포 비난 담화 이후 북한이 대남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는 만큼 이와 관련된 논의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신문은 대남정책과 관련된 내용은 별도로 알리지 않아 궁금증을 자아냈다. 김 위원장이 대북전단 살포 관련 대남정책보다 내치에 더 신경을 쓰는 것은 코로나19와 장기간의 대북제재로 인한 경제난이 그만큼 심각한 상황임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경제 성과를 통해 주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고 내부결속을 다지기 위한 행보라는 해석이다.
회의에서는 화학공업 발전과 평양시민 생활 향상에 관한 결정서가 전원일치로 채택됐다.
김 위원장은 현행 당 사업의 규약 개정과 인사 문제도 처리했다. 권태영 상장을 비롯해 군 장성들이 대거 당 중앙위원회 위원 및 후보위원에 선출됐다. 약 3분의2가 군 장성인 것으로 파악돼 지난달 당 중앙군사위원회 인사에 따른 선출로 보인다. 평양시 당위원장인 김영환은 당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보선했으며 고길선·김정남·송영건을 당 중앙위 후보위원에서 위원으로, 리재남·권태영·권영진을 당 중앙위원으로 보선했다.
이어 림영철·강일섭·신인영·리경천·김주삼·김정철·최광준·양명철·김영철·박만호를 당 중앙위 후보위원으로 보선했다. ‘혁명성지’가 자리한 삼지연군 당위원장인 양명철은 군 당위원장으로는 이례적으로 당 중앙위 후보위원에 포함됐다.
/윤경환·박우인기자 ykh22@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