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국회의원 총선거 이후 외교·안보라인 개각설이 꾸준히 제기됨에 따라 정경두 국방부 장관의 교체 또는 이동설이 나돌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군 안팎에서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나오고 있다.
특히 보수층을 중심으로 “국방부 장관이 바뀐다면 김관진과 같은 사람을 기용해야 한다”, “김관진 전 장관이 군을 이끌 때 북한이 쉽게 도발하지 못했다”라는 등의 ‘김관진 향수’가 퍼져나온다.
포털사이트에 올라온 국방 관련 뉴스를 보더라도 댓글에는 “김관진이 그립다”라는 등 김 전 장관을 회상하는 글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런 이유에는 최근 군 당국이 북한 눈치를 본다는 비난을 받으면서 대북 강경파였던 김 전 장관이 자연스럽게 회자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장관은 이명박 정부의 마지막이자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방부 장관이다. 지난 2013년 2월 박근혜 당시 대통령은 취임하면서 국방부 장관 발탁을 두고 여러 인사를 고민했다. 하지만 결국 이명박 전 대통령이 뽑아 놓은 김 전 장관을 유임시켰다. 이 같은 인사에 대해 당시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에 군사적 부담을 줄 수 있는 인물이 김 전 장관이기 때문에 박 전 대통령이 유임시킨 것이라고 해석했다.
김 전 장관은 2010년 12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제43대 국방부 장관을 지내고 청와대의 국가안보실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김 전 장관은 국방부를 이끌 당시 북한에 대해 매우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대부분의 역대 국방부 수장들이 “북한 도발은 용납하지 않는다”라는 등의 원론적인 입장을 취한 반면 김 전 장관 달랐다.
김 전 장관은 야전부대, 특히 북한과 교전 가능성이 있는 전방부대를 시찰할 때 마다 장병들에게 “북한이 도발하면 ‘대응사격을 할까요?’라는 등의 보고는 필요 없다. 지휘관에 물어볼 것도 없이 자동으로 응사하라. 적이 항복할 때까지 몇 십 배로 보복응징하라”고 지시했다.
이뿐 만이 아니었다. 그는 야전 지휘관들에게 “적이 도발하면 도발세력은 물론 지원세력까지 초토화 시키라”고 자주 주문했고,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북한의 핵공격 징후가 포착되면 우리가 먼저 공격하겠다”며 북한에 적잖은 부담을 줬다.
김 전 장관은 또 국방과학연구소에 “북한 전역을 정밀타격 할 수 있는 사거리 800km 미사일을 개발하라”고 지시하면서 야전부대를 향해서는 “북한이 도발하면 우리가 가진 미사일로 적의 숨통을 끊어놓으라”며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관련기사
그는 특히 북한을 향해서는 “북한은 미래가 없고 전망도 없는 불량국가일 뿐이다”고 발언하는가 하면 “북한이 개성공단에서 근무하는 우리 근로자를 억류하면 군사작전을 펼쳐 그들을 구출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 같은 김 전장관의 강경한 모습이 북한 입장에서는 눈엣가시였는지 북한은 이례적으로 우리나라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 보다는 국방부 장관을 직접 거론하면서 자주 맹비난을 가했다.
김 전 장관이 재임 당시 북한은 “김관진과 같은 극악한 대결 광신자들”, “김관진은 보복 타격의 첫 번째 벌초 대상”, “김관진은 인간 오작품” 등이라며 원색적인 비난을 연일 쏟아냈다.
또 김 전 장관의 사진을 표적으로 한 사격과녁을 만들어 총을 쏘는 훈련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당시 군사전문가들은 “김관진 장관이 유지해온 대북 강경책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한 예비역 대령은 “김 전 장관은 북한의 도발은 절대 용납하지 않는다는 강경파였으면서도 한편으로는 항상 북한과의 대화 창구는 열어 놓은 합리적인 국방장관이었다”며 “최근 군기강 해이를 비롯해 군에서의 잡음이 많아서인지 김 전 장관 시절이 많이 회자된다”고 전했다.
한편 청와대가 개각 계획을 명확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외교·안보라인에 대한 교체설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외교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이 주요 교체대상일 것이라는 분석이 정치권에서 나오는 가운데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서훈 국가정보원장의 후임으로 거론되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청와대가 아직 정 장관의 거취를 거론하지 않았지만 정 장관은 한일 군사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조건부 연장과 군내 코로나19 관리 등의 공을 인정 받고 있다”며 “차기 국방부 장관으로는 황기철 전 해군참모총장, 김용우 전 육군참모총장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김정욱기자 myk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