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지난 2018년 4월 판문점 남북정상 회담 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접근방식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이라고 평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볼턴 전 보좌관은 23일(현지시간) 출간 예정인 회고록 ‘그것이 일어난 방’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그는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다음 날(4월28일)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해왔는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했다며 황홀해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판문점 회담을 강력히 밀어 붙였다고 강조했다.
볼턴 전 보좌관에 따르면 일본의 시각은 정반대였다. 그는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별장인 마러라고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언급했던 키포인트를 반복했는데 이는 문 대통령의 지극히 긍정적인 시각(over-optimistic)과 정반대되는 것”이라며 “김정은 위원장을 믿지 못하는 일본은 핵문제와 납치 이슈에 있어 구체적이면서 모호하지 않은 약속을 원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아베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그가 오바마보다 강하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이 북한의 비핵화 약속을 너무 쉽게 받아들였다는 것이다. 볼턴은 기본적으로 북한에 대한 신뢰가 낮고 대북 군사행동을 검토하기도 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한국이 2018년 6·12 싱가포르 첫 북미정상회담 때 남북미 3자 정상회담 개최를 희망했지만 북한에서도 관심이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고도 밝혔다. 문 대통령의 4월28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판문점에서 남북미 3자 회담 직후 북미 정상이 회담할 것을 주장했다는 것이다. 또 5월22일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볼턴이 정의용 실장을 만났을 때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한국이 여전히 북미 회담 후 3자 회담을 위해 싱가포르에 있길 희망했다고 볼턴은 적었다.
하지만 북한도 싱가포르 3차 회담을 원하지 않았다. 김영철 부위원장이 5월30일 뉴욕에서 폼페이오 장관을 만났을 때 문 대통령이 필요하지 않으며 3자 회동에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뉴욕=김영필특파원 susop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