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3년까지 서울지하철에 교통카드나 승차권을 찍지 않고 개찰구를 통과하는 비접촉식 게이트가 도입된다. 고속도로에 설치된 하이패스 시스템처럼 감염병 예방을 위해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하는 기술이다.
서울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산하 공공기관 26곳이 참여하는 ‘공공혁신 보고회’을 열고 혁신사업 128개를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비대면 서비스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총 6,116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는 공공혁신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5대 비전을 내걸었다. 5대 비전은 △1년 365일 상시 방역체계 구축 (11개사업·747억원) △4차 산업혁명 선도 미래도시 도약( 32개사업·2,675억원) △언택트 서비스 확대(44개 사업·831억원) △경제적 소외계층 경제방역(29개사업·1759억원) △감염병 대비 맞춤형 돌봄서비스(12개사업·104억원)다.
서울시는 우선 고속도로 하이패스처럼 교통카드를 개찰구에 찍지 않아도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비접촉식 게이트를 2022년 서울지하철 556개 게이트에 도입한다. 2023년에는 지하철역 3,340개 게이트 전체에 설치한다. 또 시중은행이나 서울신용보증재단을 방문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으로 관련 서류만 제출하면 바로 처리되는 신용보증 서비스도 오는 8월부터 시범 운영한다.
코로나19 이후 등장할 새로운 유형의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1년 365일 상시 방역체계도 구축한다. 먼저 12개 시립병원 간 의료 인력·물품·시설 등 자원과 정보를 공유하고 시립병원과 민간병원이 상시 소통하고 협력하는 민관 공동 대응체계를 만든다. 이를 위해 ‘시립병원 운영 혁신센터’를 2021년 6월 설립한다. 인력부족에 시달리는 역학조사관을 도와 확진자 동선추적 업무를 담당할 ‘감염 접촉자 추적요원’ 300명도 새로 충원한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도시 서울을 위해 기존 공공서비스도 혁신한다. 먼저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로 전동차와 선로 등 고장 징후를 실시간 검지해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스마트 트레인’ 안전관리를 2022년 전 노선에 도입한다. 전동차별 혼잡도를 앱이나 승강장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2023년 전 노선에 도입될 예정이다.
4차 산업혁명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지원에도 나선다. 의료·비대면·스마트인프라 등 포스트코로나 유망 분야 스타트업 창업 지원을 위한 500억원 규모의 창업펀드를 새롭게 조성하고 마스크 혁신기술 발굴을 위한 6만달러 규모의 국제공모전도 추진한다.
소외계층을 위한 경제방역의 일환으로 서울디지털재단은 43억원을 들여 기계나 센서가 수집하기 어려운 사각지대 데이터를 수집·가공하는 ‘데이터 수집단’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연간 3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은 포용성장을 위한 225개의 여성 창업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서울시 복지재단은 8억원을 들여 고독사 위험에 노출된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는 등 돌봄서비스도 강화할 방침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의 코로나19 방역대책인 ‘S방역’이 세계의 표준이 된 것처럼 서울시 산하 26개 공공기관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공공기관 혁신의 표준모델을 만든다는 목표로 혁신을 본격화하겠다”며 “영세 자영업자 지원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중장년 및 여성 일자리를 발굴해 경제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경제방역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지성기자 engin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