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와 공존하는 세상, 좀비로부터 탈출한 바깥 세상. 진짜 안전한 세상은 어디일까. ‘부산행’의 4년 후를 그린 영화 ‘반도’가 좀비로 인해 타락한 인간성의 밑바닥을 보여주다가도 그 속에서의 희망을 이야기한다.
‘반도’는 전대미문의 재난 뒤 폐허의 땅으로 다시 들어가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재난에서 가까스로 탈출했던 ‘정석’(강동원)이 바깥세상으로부터 고립된 반도에 다시 들어가야 하는 피할 수 없는 제안을 받는다. 제한 시간 내에 지정된 트럭을 확보해 반도를 빠져 나와야 하는 미션을 수행하던 중 인간성을 상실한 631부대와 대규모 좀비 무리가 정석 일행을 습격한다. 이 와중에 민정(이정현)의 네 가족을 만나 위기를 모면하고, 이들과 함께 반도를 탈출하기 위한 기회를 잡기로 한다.
4년 만에 돌아온 반도는 폐허가 돼 황망하기 짝이 없다. 좀비가 득실대는 도시는 쌓인 먼지와 바래진 빛만이 가득하다. 도로에는 “신은 우릴 버렸다”는 살아남은 자들의 원망의 메시지가 쓰여있다.
좀비는 그저 배경에 불과하다. 진짜 두려운 존재는 좀비가 아니라 살아남은 인간들이다. 연상호 감독은 다양한 인간 군상을 통해 인간의 야만성과 욕망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인간성이 상실된 모습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집단이 631부대다. 이들은 좀비떼들 속에 힘 없는 인간들을 한 공간에 욱여넣고 ‘숨바꼭질’이라는 생존게임을 즐긴다. 반도를 탈출하려는 의지도 사라진 지 오래다. 인간이기를 거의 포기하고 쾌락만을 추구하는 타락한 인간성을 부각시킨다.
반면 민정의 가족과 정석은 631부대와는 대조적이다. 고립된 반도에서의 탈출을 통해 희망을 엿본다. 김 노인(권해효)은 기성세대로서 지옥에서 살아가야할 후 세대인 민정의 두 딸에게 죄책감을 느끼는 인물이다. 미래를 위해 기성세대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희생에 대한 이야기를 하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액션은 기대해도 될 만큼 화려하다. ‘부산행’은 KTX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사건이 벌어졌다면, 반도는 넓은 도심에서 일어나는 설정이라 촬영과 액션의 콘셉트도 더욱 확장됐다.
특히 중후반부의 카체이싱 추격전은 극장에서 꼭 관람해야 할 이유다. 폐허가 된 도심을 가로지르며 생존자들과 좀비떼가 서로 쫓기고 쫓기는 총 20분의 대규모 카체이싱은, 생존을 향한 폭풍 드라이브는 강렬한 몰입감을 선사한다. 역동적 볼거리. 속도감 있는 질주는 “CG로 떡칠했다”는 연 감독의 말처럼 완성도 높게 탄생했다.
좀비들도 ‘부산행’보다 더 빨라지고 정교해졌다. 반도의 좀비들은 폐허가 된 땅에서 노후화돼 더 케케묵은 모습이다. 불빛과 소리에 따라 민첩하게 달려들고, 속도감과 움직임이 업그레이드됐다. 화려한 볼거리만으로도 극장을 찾을 이유는 충분해 보인다. 좀비가 주는 공포감은 기대만큼 못하지만, 박진감 넘치는 액션 시퀀스는 눈, 귀가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다.
다만 서사를 중요시하는 관객들에게는 실망감을 안길 수 있겠다. ‘반도’로 돌아온 정석이 민정의 가족들과 함께 탈출을 계획하지만 그의 가족애, 동료애의 당위성을 찾기 어렵다. 눈물샘을 자극하는 신파의 농도도 진해졌다. 후반부 늘어지는 신파 장면은 속도감과 스타일리시함이 살아있던 영화에 몰입도를 깨버린다. 15일 개봉.
/이혜리기자 hyer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