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은 출범 초부터 정파 문제를 안고 있었지만 갈수록 계파 갈등 노골화로 나라 경제를 뒤흔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민족민주(NL) 계열의 국민파와 민중민주(PD) 계열의 중앙파, 현장파 등은 이합집산을 거듭하면서 노사 합의를 걷어차고 선명성 경쟁을 앞세워 강경 투쟁을 벌이기 일쑤다. 극단세력은 민주노총뿐 아니라 한국노총까지 더욱 강경하게 만들면서 ‘타협 불가 악순환’ 구조를 이뤄낸다. 이번에 김 위원장을 가두고 노사정 합의를 깬 강경파는 당초 요구사항이었던 ‘해고금지’ 조항을 관철하지 못했다며 트집을 잡았다. 조합원 전체의 권익과 사회적 역할을 외면한 채 세 불리기와 이해관계만 앞세우는 것이다. 이런 계파 갈등은 대의원대회 때마다 모든 안건을 부결시키거나 노사정 합의를 위한 토론회마저 보이콧하면서 민주노총을 결정장애의 늪에 빠져들게 했다.
민주노총은 현 정부 들어 조합원 100만명을 넘어 최대 노동단체로 떠올랐다. 하지만 노동약자를 돌아보기는커녕 기득권 세력으로 군림하며 대화와 양보를 거부하는 행태는 노동운동의 순수성마저 의심하게 만든다. 미증유의 경제위기에도 민주노총이 ‘그들만의 리그’를 고집한다면 머지않아 설 땅을 잃게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