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일본제철 압류자산 매각 및 배상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겠지만 일단 현금화 가능성만으로도 외교 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1일 “일본 정부는 (현금화에 대비해) 모든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은 비자발급 요건 강화, 관세 인상, 송금 규제 등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 조치를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일본의 수출 규제로 나빠진 한일관계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한일 양국이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가려면 강제징용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뼈저린 반성과 사죄가 있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도 일본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냉각된 한일관계를 풀기 위해 상응하는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일 양국 원로들은 최근 모임에서 서로 입장을 헤아려 대치 국면에서 협력 관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자리에서는 일본 기업이 피해자에게 사죄하고 그 증표로 기금을 갹출하는 방안도 거론됐다. 코로나19 사태와 불안한 동아시아 안보 정세에서 양국이 벼랑 끝 전술에 집착한다면 모두 피해자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경제와 안보 문제에서 이익을 공유하는 양국이 ‘윈윈’하려면 감정적 대응을 자제하고 외교적 해법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서로 진정성을 갖고 대화한다면 꼬인 실타래를 푸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