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기사 쓰지 마세요. 음악을 모르는 분인가요?’
최근 독자로부터 e메일을 받았다. 클래식 음악계가 ‘현장 중심’에서 벗어나 코로나 시대에 대응해나가고 있다는 기사에 대한 의견이었다. 해당 기사에서는 영상 콘텐츠 제작과 온라인 유통을 위해 통신 회사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대형 클래식 기획사, K팝을 연주해 음원을 낸 오케스트라의 사례를 소개했다. 클래식 애호가라는 독자는 ‘이런 기사들 때문에 클래식 본연의 가치가 훼손된다’고 지적했다. 독자의 지적은 수많은 음악가가 오랜 시간 지켜온 고전 음악의 본질과 현장의 감동이 변질되고 있다는 안타까움으로 읽혔다. 제아무리 최고급 오디오 시스템과 고화질 영상 기술을 빌린다 한들 현장의 공기가 충돌해서 빚어내는 감동은 재현할 수 없다. 오랜 시간 연주되며 이어져 온 고전의 힘을 유행이라는 것에 비견할 수도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 공연에 대한 따가운 시선, 불편한 예매에도 불구하고 클래식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꿋꿋하게 공연장을 찾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그렇다고 클래식 업계의 새 옷 입기를 변심으로만 치부할 수는 없다. 코로나19로 ‘밀집·밀폐·밀접’을 지양하는 생활 양식이 확산하면서 이 세 가지가 불가피한 공연계는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았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올 상반기 클래식 공연 매출은 27억5,700만원으로 전년도 하반기(163억3,200만원)의 6분의1 토막 수준이다. 해외 아티스트와의 협연이 많은 클래식 공연 특성상 상당수의 공연 일정이 취소된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언제 취소될지 모를 대면 공연만 고집하며 단순한 형식의 무료 온라인 중계만 이어갈 수는 없는 노릇이다. 좀 더 다양한 그릇과 창구를 통해 관객과 만나려는 업계의 시도는 ‘시류에 휩쓸리는 변심’이 아닌 ‘새 환경을 맞이하려는 시도’로 봐야 할 것이다.
본질은 변한 게 없다. 현장에서의 교감과 감동, 고전의 깊은 맛. 서서히 재개되는 공연 무대는 이 가치를 다시금 확인시켜주고 있다. 그러나 ‘눈에 보이지 않는 적’과의 싸움이 끝나지 않은 지금, 불확실성에 대응하려는 업계의 새로운 시도는 필요하고 더 장려돼야 한다. 그것은 본질을 깎아 먹는 것이 아니라 본래의 가치를 지켜내기 위한 노력이다.
ss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