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기후협정은 지난 2015년 12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열린 파리에서 195개 회원국 만장일치로 채택됐다. 지구의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2도 이상 높아지지 않게 하고, 나아가 그 상승폭을 1.5도로 묶기 위해 세계가 함께 노력하자는 약속이다. 과도한 화석연료 사용 결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2018년에 산업화 이전인 1750년의 278ppm에서 407.8ppm으로 47%나 늘었다.
또 1850년부터 1900년 사이 13.8도이던 지구의 평균기온은 2019년 10월 기준 14.8도로 이미 1도가 올랐다. 지금 추세라면 오는 2030년에서 2052년 사이에 0.5도가 추가 상승할 것이라고 한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전망한 결과다. 기후변화가 가져올 괴멸적 결과는 ‘기후위기’ 또는 ‘기후재난’이라는 말이 함축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실천이 급한 이유다.
2017년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7억900만톤으로 세계 11위다. 세계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1,000달러 생산에 투입된 에너지양은 2017년에 석유환산톤(Toe)으로 미국이 0.12, 일본 0.07인 데 반해 한국은 0.22다. 우리나라의 1인당 에너지 사용량은 5.73으로 독일(3.79)과 일본(3.39),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평균인 4.10보다 높다.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도 11.8톤으로 우리보다 경제 규모가 큰 영국과 프랑스의 2배가 넘는다. 탄소 중심 산업구조의 변혁과 녹색 전환이 절실한 배경이다. 지난달 발표된 ‘한국판 뉴딜’ 중 그린뉴딜은 탄소 중립 사회로 가기 위한 정책 대안이다. 그린뉴딜은 도시·공간·생활 인프라의 녹색 전환,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녹색산업 혁신생태계 조성을 통해 ‘탄소 중립’ 시대를 이끌 것이다.
정부와 녹색금융이 앞장서 그린뉴딜을 펼치고 모든 국민이 일상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녹색소비자가 된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예를 들어 육류 소비를 줄이는 식생활습관 전환이나 음식물 쓰레기를 최소화하는 것도 축산과 경작 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방법이다. 가까운 곳을 갈 때는 자전거 타기와 걷기를 생활화하고 멀리 갈 때는 친환경차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도 수송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에 도움이 된다. 결국 소비자의 선택이 에너지와 제조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유인하는 저탄소 소비·생산의 선순환 구조의 출발점인 셈이다.
환경부는 2001년부터 제품 생산에 필요한 자원 채취, 제조, 유통, 소비, 폐기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제품에 표시하는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시행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 줄인 경우 저탄소제품 인증을 부여한다. 현재 저탄소제품에는 세제·물티슈와 같은 생활용품, 음료와 과자 등의 식품, 벽지와 단열재 같은 건축자재가 있고 제품 외에 철도운송 서비스도 있다. 지난 10년간 저탄소제품 인증으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량은 총 1,100만톤으로, 30년생 소나무 1억7,000만그루가 같은 기간 흡수한 이산화탄소의 양과 같다.
2019년 9월 유엔 기후행동 정상회의에서 16세의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세계의 지도자들에게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행동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최근 그는 걸벤키언 인도주의상과 함께 받은 상금 100만유로를 기후와 환경위기에 대응하는 자선 프로젝트에 기부하기로 했다. 우리도 저탄소 녹색소비를 통해 미래 세대의 외침에 답할 준비를 해야 하지 않을까. 현명한 녹색소비는 미래 세대에 건강한 지구를 물려주는 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