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이 30일(현지시간) 90세 생일을 맞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가진 이메일 인터뷰에서 장기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30일 현재 버핏 회장의 자산 가치는 826억달러로 전 세계 6위에 올라있다.
그는 WSJ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오랫동안 ‘므두셀라 기법’이라는 것을 권유해왔으며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므두셀라는 구약성서에서 969년을 살았다고 나오는 인물로 버핏 회장의 므두셀라 기법은 장수와 수익이 안정적인 투자의 조합을 뜻한다. 버핏은 아주 어린 시절부터 투자를 잘 하는 것 못지 않게 기간도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10살 때 1,000달러를 버는 법에 관한 책을 읽고 장기 투자의 중요성을 직감적으로 알아챘다. 1,000달러도 수익률 10%에 복리를 적용할 때 5년 뒤에는 1,600달러, 10년 뒤에는 2,600달러, 25년 뒤에는 1만 800달러, 50년 뒤에는 11만 7,400달러로 불어나기 때문이다. 작가 앨리스 슈뢰더는 버핏 회장의 전기 ‘눈덩이’(The Snowball)에서 “돈이 일정한 비율로 늘어나면서 숫자가 폭증하는 게 푼돈이 목돈으로 변하는 방식이었다”며 소년 버핏의 깨달음을 설명했다. 버핏 회장은 실제 이 같은 복리의 효과를 확실하게 누렸다. 버핏 회장이 가진 자산의 90% 이상은 65세 이후에 번 것이다.
전기에는 복리의 마법에 집착한 버핏 회장과 관련된 재미있는 일화들도 나온다. 전기에 따르면 버핏 회장은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 3만 1,500달러를 주고 자택을 사면서 그 돈이 나중에 100만달러가 될 것이라는 점을 아쉬워하며 허튼짓을 했다고 중얼거렸다고 한다. 또 이발을 하면서도 “정녕 여기에 ‘30만 달러’(나중에 30만달러로 불어날 수 있는 이발비)를 써야하나”라고 투덜거릴 정도로 푼돈이라도 투자와 시간이 반영됐을 때의 가치를 고민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WSJ는 장기투자 못지 않게 중요한 버핏 회장의 투자 덕목으로 유연성을 꼽았다. 버핏 회장은 수십 년 전에는 찾을 수 있는 가장 싼 주식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큰 수익을 냈지만 나이가 들면서 이 같은 과거의 관행에 집착하지 않았다. 애플 투자가 대표적이다. 버핏 회장은 한때 자신이 꼼꼼하게 이해할 수 없다는 이유로 기술기업 주식을 외면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포트폴리오에 애플 주식을 처음 편입한 것도 버핏 회장이 아니었다. 하지만 현재 버크셔해서웨이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애플로 총 투자액의 24%를 차지하고 있으며 버핏 회장도 애플에 대한 입장을 180도 바꿨다.
▶관련 기사 : [글로벌 부동산 톡톡]‘오마하의 현인’ 버핏도 주가 급락한 리츠 투자 늘렸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785116)
/고병기기자 staytomorrow@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