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상황에서 발열 등 증상이 비슷한 독감까지 유행할 경우 걷잡을 수 없는 ‘트윈데믹’ 상황에 처할 수 있어 독감백신 접종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야당인 국민의힘은 정부가 확보한 3,000만명 분 독감백신에 2,000만명 분을 더해 전 국민에게 백신을 접종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방역당국과 의료계는 3,000만명 분 자체가 평년에 비해 20% 가량 늘린 것이며 현실적으로 추가 백신 조달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감염병 관리체계에도 어긋나는 대응이라고 맞서고 있다.
논란의 핵심은 추가 2,000만명 분 독감백신 확보가 가능하냐는 문제다. 질병관리청과 업계는 2,000만명 분의 독감 백신을 추가로 확보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북반구에 속하는 우리나라는 독감의 유행 시기를 11월부터 3월까지로 보고 통상 3~8월 독감백신을 생산한 후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거쳐 시중에 유통한다. 독감 백신을 생산할 때는 유정란에 균주를 이식하거나 세포 배양을 이용하는 두 가지 방식을 쓴다. 국내에서는 SK(034730)바이오사이언스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유정란 방식으로 생산한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인플루엔자 백신은 어떤 바이러스가 유행할지를 세계보건기구(WHO)가 2~3월에 발표하면 4가지 유행균주 바이러스를 받아다가 세포나 유정란에 바이러스를 넣어 증식시켜 백신을 만들고 있기 때문에 생산에 3~4개월, 5~6개월이 걸리고, 검정 과정도 거쳐야 해 보통은 3~4월에 생산계획이 확정된다”며 “올해는 연초에 코로나 유행에 대비해 백신 공급량이나 무료접종량을 늘려야 한다는 판단을 했기 때문에 제약사와의 협의로 500만명분을 추가로 생산한 것”이라고 말했다. 유정란이나 세포배양시설에 대한 준비 등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추가 생산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생산이 가능하거나 해외 수입을 해 올 수 있다면 전 국민 접종이 유용할까. 질병당국과 의료계의 대답은 ‘아니오’다. 의료계는 전 국민의 50% 이상에게 접종해 절반가량인 30% 이상에 항체가 생기면 대유행을 막는 방역 체계를 갖출 수 있다고 본다. 전 국민 접종은 과잉 처방 논란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독감은 국민의 50% 이상을 대상으로 백신을 접종해 유행을 관리하는 게 (통상 세계 질병관리의) 이론적인 배경”이라며 “우리나라는 이번 절기에 시중에 필수 예방접종과 민간이 확보하게 될 접종량을 합하면 전체 인구의 약 57%에 해당하는 물량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오는 22일부터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및 임신부를 대상으로 독감 무료 접종을 본격 실시한다. 질병당국은 혼잡함을 피하기 위해 생후 6개월부터 83개월까지 어린이와 만 16~18세(고등학생)는 9월22일부터, 만 13세~15세(중학생)은 10월5일부터, 만 7세~12세(초등학생)은 10월19일부터 구분해 집중 접종을 실시한다. /서지혜기자 wis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