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오키나와 주일미군에 의한 일본인 소녀 폭행 사건에 항의하는 오키나와현민 총궐기대회가 지난 21일로 25주년을 맞았다. 당시 이들의 강력한 규탄은 미일지위협정의 일부 개정과 후텐마 미군기지 반환 합의로 이어졌다.
21일 일본 니시닛폰신문(서일본신문)은 당시 총궐기대회 실행 위원장을 맡았던 카카즈 치켄(79)씨와의 인터뷰를 통해 1995년 당시를 집중 조명했다.
대회 당일 8만5,000명 오키나와 현민 집결
그해 총궐기 대회가 열리기 한 달 전 카카즈씨는 외무성을 찾아 미일지위협정의 재검토 등을 요구했다. 당시 지위협정에 근거해 미국 측이 용의자의 신병 인도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키나와 주민들의 분노는 극에 달한 상황이었다. 카카즈씨가 고노 요헤이 당시 외무상에게 직접 전화를 걸었지만 지위협정 재검토는 거부당했다.
대회가 열린 1995년 10월 21일 기노완시 공원에는 8만5,000명에 달하는 현민들이 집결했다고 한다. 한 여고생이 “군대 없는, 비극 없는, 평화로운 섬을 돌려달라”고 외쳤고 군중은 슬품과 분노에 가득차 있었다고 카카즈씨는 회상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오키나와현의회의 각 정당과 지방정부,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집행위원회가 주도한 집회에서 참가자들은 “미군 병사들이 끊임없이 저지르고 있는 이같은 범죄는 미군들의 군기문란을 명백히 보여주는 것은 물론 오늘날까지 지속되는 뿌리깊은 점령군 의식의 산물”이라는 내용의 ‘항의 결의문’을 채택했다.
"미일지위협정 근본적 개정 안돼"
실제로 오키나와에서는 일본 정부안인 후텐마 비행장의 헤노코 이전에 반대하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이에 지난 6월 치러진 오키나와현 지방의회 선거에서 후텐마 비행장의 헤노코 이전을 반대하는 세력이 과반 의석을 유지했다. 이전 반대파가 과반 의석을 유지함에 따라 현재 기노완시에 있는 후텐마 비행장을 나고시의 헤노코로 이전하려는 일본 정부의 계획이 계속해서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커졌다.
/김기혁기자 coldmetal@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