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2차 유행에 압도당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더는 바이러스 확산세를 통제할 수 없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유럽의 두 강대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차 유행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 결국 프랑스는 첫 봉쇄령 해제 5개월여 만에 재봉쇄 카드를 꺼냈고 독일 역시 전국의 여가시설을 폐쇄하기로 했다. 미국에서는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10만명대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온 가운데 더딘 백신 개발 속도에 연내 승인은 물 건너갔다는 암울한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프랑스 공영방송 ‘프랑스24’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TV 연설에서 30일 0시부터 최소 오는 12월1일까지 프랑스 전역에 이동제한령을 내린다고 밝혔다. 국경은 계속 열어두지만 지역 간 이동을 제한한다는 것이다. 식당과 술집 등 비필수 사업장은 모두 폐쇄되며 모든 직장에는 재택근무가 권장된다. 다만 지난 3월에 내려졌던 봉쇄령과 달리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 노인요양시설, 공공서비스 기관은 계속 운영된다. 생필품·의약품 구매, 병원치료, 통근, 자녀 등·하원 지도를 위한 외출 역시 허용되지만 이를 위해서는 이동증명서를 소지해야 한다.
프랑스에 ‘전국 재봉쇄령’은 자존심을 내버린 극단의 조치다. 7월 장 카스텍스 총리가 경제와 시민 자유를 고려해 “(코로나19) 재확산이 오더라도 3월처럼 전국 봉쇄령을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기 때문이다. 프랑스 당국은 이달 17일 내렸던 일부 지역의 야간통행 금지령을 인구 69%가 거주하는 지역으로 확대했다. 하지만 25일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5만2,010명에 달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자 결국 전국 재봉쇄라는 결단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5월11일 전국 봉쇄령이 해제된 지 171일 만이다.
이웃국가 독일도 준봉쇄령을 발표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날 주지사들과 화상회의를 가진 뒤 기자들에게 “국가적 비상사태에 직면하기 전에 지금 당장 행동을 취해야 한다”며 다음달 2일부터 4주간 술집과 영화관 등 여가시설의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포장을 제외한 식당의 영업도 금지된다.
독일은 이웃 국가들과 비교하면 감염 사례는 적지만 확산세가 매우 가파르다. 이날 독일의 신규 확진자 수는 1만6,202명을 기록해 단 열흘 만에 3배로 치솟았다. 일부 기업들이 이번 봉쇄 조치를 “죽음의 일격”으로 표현하며 반발하자 독일 정부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120억달러(약 13조5,800억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역시 고강도 방역 조치의 영향권에 드는 운동시설·식당 등을 지원하기 위해 약 7조2,000억원 규모의 추가 부양책을 승인했다.
2차 유행을 넘어 3차 유행이 진행 중인 미국의 상황도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날 기준 최근 7일간 미국 내 코로나19 신규 환자 수는 50만명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하루 평균 신규 환자 수도 약 7만3,000명으로 집계돼 처음으로 7만명대를 기록했다. 2주 전과 비교해 40% 가까이 폭증한 수치다. 3~4월 뉴욕을 중심으로 한 1차 유행과 올 6월 선벨트 지역(북위 37도 이남의 따뜻한 지역)을 휩쓴 2차 유행과 달리 이번 3차 유행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날 기준 40개 주에서 최근 1주일간 신규 환자 수가 전주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본격적인 재확산은 아직 시작되지도 않았다고 경고했다. 아시시 자 브라운대 공중보건대학원 학장은 “(하루 신규 환자가) 10만명으로 늘더라도 놀랍지 않다”고 말했다. 조너선 라이너 조지워싱턴대 의학교수는 “우리가 지금처럼 행동한다면 (신규 환자 상승) 곡선이 반대로 내려가기 시작할 때쯤에는 이미 50만명이 숨져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월드오미터 기준 현재 미국의 누적 확진자 수와 사망자 수는 각각 912만751명과 23만3,130명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백신 개발은 좀처럼 속도가 안 나고 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소장은 이날 한 화상토론회에서 코로나19 백신 개발 상황을 언급하며 “미 식품의약국(FDA)이 내년 1월까지 (사용) 승인을 내주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안전한 백신을 위한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돼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백신 개발에 앞장서고 있는 미 제약사 화이자는 이날 최종 임상시험에 대한 잠정 결과를 아직 확보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화이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 대선 후보 TV 토론회에서 연내 백신 개발 성공을 단언하며 언급했던 제약사 중 하나다.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는 “(백신 개발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말했지만 결국 10월 말에 시험 결과를 공개하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하게 됐다.
/곽윤아기자 or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