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4일 미국 대선에 대한 논평을 요청하는 외신들에 “미국 대선은 미국의 내정으로, 중국은 이 문제에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맞는 말이기는 한데 한편으로는 ‘중국의 내정’에 미국 등 외국도 시비 걸지 말라는 표현으로 들린다. 이와 관련해 러위청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5일 “미국의 새로운 정부에서 양국 관계가 정상적인 궤도로 발전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런 신중한 표현과는 달리 중국 소셜미디어에서는 미국을 조롱하는 댓글을 쉽게 볼 수 있다. 웨이보에는 “트럼프의 마지막 임무는 미국의 민주주의를 파괴한 것”이라는 글도 보인다.
그럼 보통의 중국인들은 미국 상황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중국 관영 중앙(CC)TV의 최근 미국 관련 보도를 보면 선거 자체의 전망보다는 선거 과정에서 벌어진 부정적인 혼란 상황이 주로 나온다. 시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폭력이 주요 뉴스 소재다. 반면 중국 관련 보도는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는 회복된다는 내용으로 도배돼 있다.
중국은 ‘만리방화벽’으로 해외언론의 중국 내 유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있다. 물론 일부 중국인도 가상사설망(VPN) 등을 통해 해외의 진짜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중국 정부의 압도적인 선전·선동에 묻혀버린다. 정부의 공식 발표 외에 해외 소식을 언급하는 개인은 ‘비애국자’로 취급받는 형편이다.
이러한 현상은 상승작용을 한다. 선전·선동이라는 것도 자주 하면 선전자마저 믿게 된다. 중국 제도가 최고라는 자신감이 커진다. 관영매체들은 이번 선거로 미국의 정치 제도가 한계에 봉착했다며 수정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물론 이는 미국을 포함해 모두가 인정하는 바다. 그러면 중국은 어떨까. 중국의 선전 속에는 ‘미국이 이 모양이기 때문에 당연히 중국의 제도가 우월하다’는 주장이 깔려 있다. 물론 이는 중국 밖에서는 북한 빼고 아무도 인정하지 않는다.
중국은 지난달 말 진행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9기 5차 전체회의(19기 5중전회)에서 “중국이 당(중공) 중앙의 집중통일 영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못을 박았다. 중국은 자신들의 체제를 ‘인민민주전정(人民民主專政)’이라고 표현한다. 중국어를 보면 그럴듯하지만 중국 외에 다른 국가들은 이를 ‘독재’라고 번역한다.
어쨌든 최근 중국의 경제성장은 눈부시다. 전 세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세가 엄중한 상황에서도 중국은 최근 국제수입박람회라는 대규모 행사를 개최했다. 글로벌 경제의 성장엔진은 자신이라며 은근히 세계인들이 자신의 편을 들어주기를 기대한다.
그동안의 미중 갈등 과정에서 중국은 사실상 ‘왕따’를 당했다. 그나마 현재 중국 편을 드는 국가들은 두 부류다. 첫째가 중국과 체제가 비슷한 독재국가로, 북한이 대표적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 시장이 절실하게 필요한 국가나 사람들이다. 중국 체제가 민주적은 아니더라도 효율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경제적 성과를 이뤘다고 해석한다.
중국의 공식 모토인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과거 우리 권위주의 시대의 ‘한국적 민주주의’와 오버랩된다. 아무리 돈을 많이 벌더라도 현재의 중국은 글로벌 리더가 될 수는 없을 듯하다. 중국 체제가 ‘보편적 사회발전 이론’을 대표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이 정치와 경제·문화 등 모든 면에서 ‘아메리칸드림’을 통해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던 사실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chs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