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인 탄하이 이란·한국 상공회의소 회장은 3일(현지시간) 이란 ILNA통신에 한국에 동결된 이란중앙은행의 자금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구매에 사용하는 안을 한국과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탄하이 회장은 "2일 에샤크 자한기리 수석 부통령을 만나 한국에 동결된 이란 자금의 사용 방안을 논의했다"라며 "코로나19 백신 등 상품을 사는 데 이 자금을 소진하는 방법을 제안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가 아직 이 거래 또는 동결자금 해제에 대한 실질적 행동은 없다"면서도 "양국이 동결자금을 사용하는 방안을 놓고 논의를 시작했다"라고 언급했다.
탄하이 회장은 "최우선으로 이란의 동결자금은 백신을 구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라며 "이란 보건부가 관련 절차를 마련하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란이 수입할 백신이 한국에서 생산될 백신인지, 유럽이나 중국산 백신을 이란이 수입하고 한국의 금융기관이 동결 자금으로 이 수입 대금을 대신 치르는 방식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그는 또 "백신 외에 동결 자금으로 이란에 한국에서 우선해 들여올 수 있는 물품은 원자재, 의약품, 석유화학 제품, 자동차, 가전 부품 등이다"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의 이란중앙은행 명의 원화 계좌엔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 약 70억 달러(7조 6,000억 원)가 동결돼 있다. 한국과 이란은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 이란과 직접 외화를 거래하지 않으면서 물품 교역을 할 수 있는 상계 방식의 원화 결제 계좌를 운용했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2018년 핵합의를 탈퇴하고 이란 제재를 강화, 이란중앙은행을 제재 명단에 올려 이 계좌를 통한 거래가 중단됐다. 이란 정부는 이 동결 자금을 해제하라고 한국 정부에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양국 정부가 이 자금을 둘러싸고 그간 꾸준히 접촉한 터라 탄하이 회장의 이번 언급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또 이 발언이 이란 혁명수비대가 4일 한국 상선을 억류하기 전 나왔고 민간 경제 단체 차원의 제안인 만큼 백신 구매 자금과 이번 선박 억류가 직접 연관됐다고 하기 어렵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