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은 설 연휴 14만명 이상이 제주를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차단에 총력전을 펴고 있다.
실제 지방자치단체마다 설 연휴 귀성객과 관광객 등 유동 인구에 따른 코로나19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12월 집단감염 확산세를 겨우 잡은 제주도는 이번 설 연휴를 또 한 번의 방역 위기로 인식하고 있다. 제주도는 설 연휴에 제주를 방문하려면 도착하기 전 3일 이내에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고 음성일 때만 방문하라고 강력히 권고했다. 이 같은 권고를 무시하고 진단검사를 받지 않은 채 제주를 방문해 코로나19를 전파하는 등 방역상 책임이 있으면 구상권을 청구한다는 방침이다.
제주도는 지난해부터 입도객 중 발열 증상자나 코로나19 유증상자들이 의무적으로 진단검사를 받도록 하는 내용의 특별 행정 조치를 발동 중이다. 이에 따라 입도객 중 체온이 37.5도 이상이면 진단검사를 의무적으로 받고 판정 결과가 나올 때까지 도내에 마련된 거주지 또는 예약 숙소 등에서 자가 격리를 해야 한다.
광주시는 매년 명절 때마다 지하철 연장 운행을 해왔으나 이번 설에는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 강원도는 이번 설 명절 연휴에 민간투자시설사업 도로인 미시령터널 통행료를 유료로 운영한다. 서울시 역시 설 연휴 대중교통 막차 시간 연장 운행을 하지 않는다.
설 연휴 봉안시설에 다수가 방문하지 못하도록 예약제로 운영하거나 아예 폐쇄하기도 한다. 강원도 일부 시·군에서는 설 연휴에 봉안시설 방문 성묘객을 위한 사전 예약제를 운용하고, 온라인 성묘시스템도 제공한다. 광주시는 11∼14일 영락공원, 망월 묘지공원 묘지·봉안 시설 등을 폐쇄하고 출입을 통제한다. 대전시설관리공단은 설 연휴인 11~14일 대전추모공원 실내 봉안당을 폐쇄한다. 다만 연휴 전후 1주씩은 사전 예약한 사람만 실내 추모공간을 방문할 수 있다. 예약인원은 하루 240가족, 960명으로 제한했다. 가족묘 등이 있는 실외 추모 시설은 연휴 기간에 정상 운영하지만 음식 반입이 금지된다. 서울시는 6∼7일과 11∼14일 시립 장사시설 실내 봉안당을 폐쇄해 온라인 성묘를 유도하고 5인 이상 성묘를 금지했다.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또 방역 강화를 위해 명절 친지·지인 간 식사 자리마저도 피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강원도는 무증상 확진자로 인한 가족·지인 간 감염 확산 차단을 위해 '한 집 한 사람 검사받기' 캠페인을 지속해서 펼친다. 강원도 관계자는 "올해는 고향·친지 방문을 자제하고 집에서 머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각 지자체는 설 연휴 종합상황실을 구성해 방역 상황을 점검하며 방역 상황 지원과 사회적 거리두기 유지를 위한 비상 근무에 돌입하기로 했다. 각 지자체는 다중이 모이는 공영 관광지 등의 일부 시설을 이번 설 연휴에 운영하지 않기로 했으며, 선별진료소와 응급 환자를 위한 응급 의료체계 유지를 강화했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