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의 페이스북 계정 영구 정지에 대한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정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미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7일(현지시간) 이같이 전하며 계정이 복원될 경우 역풍을 맞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일각에서 나온다고 보도했다. 페이스북은 지난달 6일 의사당 난입 사태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계정을 최소 2주간 정지한다고 밝혔으며, 같은 달 21일엔 영구 정지 결정을 페이스북이 설치한 감독위원회에 회부한 바 있다. '소셜미디어 대법원'으로 불리는 이 감독위원회는 페이스북의 정책에 대한 자문 및 권고를 위해 지난해 가을 인권·표현의 자유 등 분야의 외부 전문가 20명으로 꾸려졌다. 페이스북은 특히 이번 사안을 놓고 감독위원회에 "정치 지도자의 계정 정지에 대한 의견 또는 권고"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이번에 내려진 결정이 향후 전 세계 지도자급 정치인의 계정 관련 정책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더힐은 분석했다.
페이스북은 그간 감독위원회의 권고를 대부분 이행했지만, 이번 심의에서 트럼프 계정을 영구 정지하라는 결정이 나오더라도 강제성은 없기 때문에 따르지 않을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감독위원회의 한 위원은 "페이스북이 위원회의 결정을 실천할 것이라고 자신한다"면서 "이행 가능성은 권고의 질이 얼마나 높고 타당한지에 달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이미 퇴임했기 때문에 추가적인 보호 조치가 필요 없다면서, 그가 페이스북의 정책을 여러 차례 위반한 점 등을 고려하면 감독위원회를 통한 계정 영구 정지 논의라는 절차 자체가 필요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시민단체 프리 프레스(Free Press)의 제시카 곤살레스 대표는 "아직도 트럼프의 계정을 영구 정지하지 않고 감독위원회에 결정을 떠넘기는 것은 비겁한 행동"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페이스북이 심의를 부탁한 게시글은 의사당 난입 사태 관련 글 한두 건뿐이라면서 감독위원회가 페이스북의 거수기 역할을 하는 데에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스콧 탈란 아메리카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조교수는 “트럼프 계정에 대한 정지 결정이 번복된다면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와 페이스북에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것”이라면서 "감독위원회라는 저커버그의 방패도 얼마 못 가 무너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트위터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계정에 대해 영구 정지 조치를 한 바 있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