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있는 것만으로 위로가 될 때가 있다. 영화 ‘아이’는 홀로서기만 했던 두 여성이 아이를 통해 서로의 상처를 보듬는 잔잔한 위로와 치유를 선사하는 작품이다.
극 중 아영(김향기)은 보육원에서 자라 어른이 된 보호종료아동으로 스스로 삶을 책임져오면서 조금 일찍 어른이 된 인물이다. 대학에서 아동학을 전공하면서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며 강한 생활력으로 자기 몫을 살아낸다. 돈이 필요한 그녀는 현금을 받는 조건으로, 싱글맘 영채(류현경)의 아이인 혁의 베이비시터가 된다.
영채는 남편과 일찍 사별해 6개월 된 아들을 혼자 키우는 싱글맘. 유흥업소에서 일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그마저도 점점 녹록지 않은 상황에 처한 인물이다. 어떻게든 버텨보려 애쓰지만 버거운 현실에 끝내 아이를 팔아넘기겠다는 생각까지 이른다. 훗날 아이가 손가락질 받지 않고 보다 번듯한 가정에서 자랐으면 하는 마음도 있었다.
보호종료아동인 아영은 버려질 위기에 처한 아이 혁이를 통해, 홀로 버텨야 했던 자신의 아픔을 돌아본다. 그런 아영과 아이를 포기하려는 영채는 갈등하면서도, 각자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나누고 같은 온도로 들여다봐줄 수 있는 존재가 된다. 기댈 곳 없이 홀로서기만 했던 이들의 만남은 서서히 서로에게 위로를 건넨다.
사회적 약자가 등장하지만 이들 각자의 사연을 자극적으로 소비하지 않는다. 아영이 왜 보호종료아동이 되었는지, 영채가 어쩌다 술집에서 일하게 됐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비극을 조명하지도 않는다. 대신 아영과 영채가 서로의 일상에 들어와, 각자 홀로서면서도 함께 연대하는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담아낸다.
연민의 시선을 덜어내고, 미숙하지만 평범한 지금을 살아가려는 이들 모두에게 전하는 공감이 힘이 크다. 김향기는 “먼 이야기 같지만 주변 가까운 곳에서 살아 숨 쉬는 이야기”라고 했다. 영화에서 재현한 현실의 모습은 사람 사는 일상과 희로애락을 통해 따뜻한 온기를 전한다.
한편 위로와 치유를 선사할 영화 ‘아이’는 2월 10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한은기 인턴기자 eungi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