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설 연휴 기간 청와대를 떠나지 않고 정국 구상에 집중한 가운데 오는 3월께 임기 후반기 개각의 ‘마지막 퍼즐’을 맞출지 주목된다.
당장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 19) 대응을 비롯해 미국 바이든 신(新)행정부와의 외교 정책 조율에 집중할 것으로 보이지만 오는 4월 보궐 선거를 전후해 총리나 경제팀 교체를 통해 문재인 정부 후반기 진용을 완성 지을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정치권 안팎에서 나온다.
여권에서는 문 대통령의 이번 설 연휴 정국 구상 중 총리와 경제팀 교체와 관한 고민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연말 연초 3차례의 중폭 개각을 통해 상당수 장관들을 교체했으나 내각의 핵심인 총리와 경제부총리 등은 바꾸지 않았다.
문 대통령의 신중한 인사스타일을 고려한다 해도 현 내각이 그대로 임기 말까지 지속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당장 정세균 국무총리가 대권 도전을 위해 사퇴할 가능성이 나오고 있어 후임 총리 인선은 문 대통령이 당면한 가장 어려운 숙제 중 하나로 꼽힌다. 여권에서는 정 총리의 퇴진 시기로 이르면 3월 말, 또는 4·7 재보선 직후를 점치고 있다.
아울러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등 경제팀 교체가 이뤄질 가능성도 크다는 관측이 꾸준히 흘러나온다.
14일 취임 797일을 맞은 홍 부총리는 앞으로 46일 더 재임하면 이명박정부 때의 윤증현 전 부총리 기록을 깨고 최장수 부총리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문 대통령이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위기를 어느 정도 극복할 때까지 홍 부총리를 신임할 것으로 보이지만, 장수 장관으로서 피로도 등을 고려하면 임기 말까지 유임하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코로나 19 백신 접종이 시작되고 재난지원금 지원 등이 마무리되는 대로 홍 부총리 교체가 재차 검토될 수 있다는 전망이 여권 안팎에서 나온다.
/윤홍우 기자 seoulbir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