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7일 치러지는 보궐선거에서 투표율이 최대 변수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민주당은 보궐선거가 ‘일하는 날’에 치러져 투표율이 떨어질 경우 지난 10년 간 서울에서 쌓아올린 조직의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번 보궐선거가 ‘대선 전초전’이라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만큼 서울 시민들의 견제 심리가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1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오는 4월 7일 서울·부산 보궐선거는 공휴일이 아닌 일반 근무일에 진행된다. 지방자치단체장 등이 임기를 다 마쳐 치러지는 선거는 법정 공휴일에 해당하나 재·보궐 선거는 공휴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관위는 4월 2일과 3일 이틀 간 사전투표를 진행하고 투표 마감 시간을 오후 6시에서 오후 8시로 연장했다. 다만 투표율 하락은 불기피할 것으로 보인다.
여당은 이같은 낮은 투표율을 ‘호재’로 파악하고 있다. 투표율이 낮으면 일반 유권자보다 권리 당원이나 열성 지지층들의 목소리가 상대적으로 더 반영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당이 20·21대 국회에서 서울 지역에서 야당의 2배가 넘는 의석을 차지했다는 점에서 조직표 우세가 점쳐진다. 20대 총선 결과 서울에서 민주당은 35석, 보수 야당(당시 새누리당)은 12석, 국민의당은 2석을 얻었다. 4년 뒤 21대 총선에서는 보수 야당의 입지가 더욱 좁아졌다. 총 49석 중 민주당이 41석, 미래통합당이 8석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지난 2018년 지방선거로 선출된 25명의 서울 구청장 중 24명이 민주당 소속인 반면 국민의힘은 1명에 불과하다. 조직 선거가 될 경우 현역 국회의원 지역위원장과 현직 구청장이 많은 여당에게 유리한 구도다.
민주당은 그 사례로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당선된 지난 2011년 서울시장 재보궐선거를 들고 있다. 2010년 전국지방선거를 통해 민주당이 서울 지역 25개 구청장 중 21개를 석권하고 한나라당이 4개밖에 얻지 못한 상황에 45.9%라는 낮은 투표율이 결합돼 박 전 시장이 당선될 수 있었다는 논리다.
반면 야권은 당시 박 전 시장의 당선을 조직력의 문제가 아닌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로 인한 역풍으로 해석하고 있다. 오히려 집권여당에 반대하는 여론이 불 경우 야당에 유리한 판세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서울에 국회의원을 비롯해 구청장 등이 여당 소속이어서 조직이 야당보다 잘 돼 있다”며 “투표율이 낮으면 조직이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아무리 투표율이 낮아도 정권 견제론 프레임이 우세할 경우 야당에 유리하다”고 분석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