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만 65세 이상의 아스트라제네카(AZ)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일단 보류하기로 하면서 향후 계획에 차질이 우려된다. 올해 1분기 국내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백신이 사실상 아스트라제네카 제품밖에 없는 상황에서 최우선 접종 대상이었던 고위험군부터 계획이 틀어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르면 3월 말께 추가 임상 정보를 확인한 뒤 고령층 접종 방안을 최종적으로 확정한다는 방침이지만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하려던 당초의 목표 달성도 어려워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5일 질병관리청 등 관계 부처로 구성된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26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시작하되 65세 이상 고령층에 대한 접종 일정은 보류했다. 이에 따라 이달 26일부터 공급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75만명분(150만도스)은 만 65세 미만의 요양병원·요양시설 입소자와 종사자 등 약 27만 2,000여명에게 우선 투여된다. 만 65세 이상 연령층에 대해서는 백신의 유효성에 대한 추가 임상 정보를 확인한 후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접종 방안을 다시 확정한다. 고령층 접종 효과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돼 온 만큼 충분한 자료를 검토한 뒤 신중히 결정하겠다는 취지다.
정부의 이 같은 결정은 어느 정도 예견됐다. 임상시험 과정에서 고령층 참여자가 많지 않았던데다 백신의 효능을 증명할 자료 또한 충분치 않다는 이유로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고령층 접종을 잇달아 제한했기 때문이다. 실제 독일과 프랑스·오스트리아·스웨덴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연령을 65세 미만으로 제한했고 핀란드는 70세 미만, 폴란드는 60세 미만, 벨기에는 55세 미만으로 각각 권고한 상태다. 스위스와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은 아예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승인 자체를 보류했다.
논란이 커지면서 세계보건기구(WHO) 자문단이 최근 18세 이상 성인이라면 연령 제한 없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권고한다는 입장을 내놨지만 상황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사실상 자국 백신으로 여기는 영국을 제외하면 인도, 멕시코,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일부 국가만 별도의 연령 제한 없이 모든 성인에게 백신을 사용해도 된다고 승인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식품의약품안전처 역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국내 사용을 허가하면서도 사용상 주의사항에는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한 사용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내용을 기재하기로 했다. 아울러 식약처는 아스트라제네카 측에 미국에서 진행 중인 임상시험의 중간 보고서를 4월 말까지 제출해 달라고 요청했다. 3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이 임상시험에는 고령자가 약 7,500명 정도 포함돼 있는 만큼 그 결과를 보고 판단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
백신 접종을 10여일 앞둔 정부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정부는 지난달 28일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시행계획'을 발표하며 이르면 2월부터 노인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등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약 78만명을 대상으로 접종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당시 정부는 백신 접종을 우선해야 하는 이유로 "(이들 시설의 고령층이) 집단감염에 취약하고 감염 시 치명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치명률이 높아지는 코로나19의 특성상 이들을 최우선으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달부터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입원·입소자, 종사자 가운데 만 65세 미만에 해당하는 27만여명을 먼저 접종한다고 하더라도 당초 목표로 했던 접종 대상자보다 약 50만명 적다. 정부가 이날 추계한 요양병원·요양시설 전체 대상자 64만 9,000명과 비교해도 37만명 이상 적은 것이다.
아스트라제네카 측의 추가 임상 정보가 이르면 3월 말 정도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만약 일정이 더 늦춰지거나 자료가 충분치 않아 접종을 또 미뤄야 한다면 고령층 접종은 더 늦춰질 수도 있다. 백신 접종 인력과 물량이 한정된 상황에서 한번 늦춰진 접종 일정이 제대로 이뤄질지도 미지수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외에도 백신 공동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와 화이자, 모더나, 얀센 등과 공급 계약을 맺었으나 백신마다 공급 일정이 다르다. 현재로서는 1분기 이내에 들어올 수 있는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코백스를 통한 화이자 물량뿐이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적어도 앞으로 한두 달 정도는 고령자에게 백신 접종을 못 하는 상황인데 여전히 (고령) 확진자 발생이 많은 터라 고령층에 대한 보호가 접종 가능 시기까지 괜찮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접종 시작 단계부터 차질을 빚으면서 계획이 틀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는 현재 요양병원이나 노인 의료복지시설,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 등부터 순차적으로 접종을 시행해 9월까지 전 국민의 70%를 대상으로 1차 접종을 마친 뒤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대해 기모란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추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결정한다면 몇십만 명 맞히는 것은 어렵지 않다"며 집단면역 형성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을 낮게 평가했다. 기 교수는 다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대체해 고령층에 접종할 백신은 지금 당장 없는 상황"이라면서 "어떤 백신이라도 지금 (코로나19에) 가장 위험한 그룹은 65세 이상 고령층이고, 요양원에 계신 분들은 먼저 백신을 맞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예나 인턴기자 ye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