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인 정진석 의원이 지난 15일 “국정원이 불을 지피고 여당 대표까지 바람잡이로 나서는 것을 보니 뭔가 거대한 정치공작이 진행되고 있는 건 아닌지”라며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의 불법 사찰 의혹이 불거진 것에 대해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웠다.
정 위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사라진 줄 알았던 국정원의 정치공작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며 박지원 국정원장을 겨냥해 “‘정치적 술수의 대가’로도 알려져 있다. 정치적 술수가 한발 더 나아가면 정치공작이 된다”고 이같이 지적했다.
아울러 “서슬 퍼런 임기 초반의 적폐 청산에도 드러나지 않던 문건이 선거 직전에 짠하고 등장했다”며 “그것도 익명의 국정원 고위 관계자 입을 빌려서”라고 비꼬았다. 이어 “이것은 국내 정치 개입 정도가 아니라 선거를 위한 정보기관의 정치공작”이라고 날을 세웠다. 그러면서 “박 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국정원이 더는 국내 정치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선언했다”며 “익명의 국정원 고위관계자부터 일벌백계하고 원장님의 높은 뜻을 만천하에 분명히 하시기 바란다”고 쏘아붙였다.
같은 날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경협 국회 정보위원장은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의 불법 사찰 의혹과 관련된 문건에 대해 “청와대의 지시에 의해서라고 나와 있다”며 “소수의 진보 인사의 뒷조사가 아니라 정치인 전체, 종교인, 연예인, 예술가, 노동조합 간부 등 아주 광범위하게 불법사찰이 이뤄졌다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민정수석실이 이러이러한 사람들의 파일을 만들어라(고 지시하고), 그리고 이걸 민정수석실에서 보관하고 업데이트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국정원에서 보안책임 하에(사찰하라고) 돼 있다”며 “박근혜 정부 때도 이걸(사찰을) 중단시켰다는 메시지가 지금까지 드러난 것이 안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어 “18대 국회의원 전체, 특히 친박계 의원들에 대해서 아주 낱낱이 조사하라는 지시, 언론계나 법조계 부분도 나와 있다”며 “어느 정도로 사찰이 진행됐는지, 그 범위나 규모를 지금은 추정할 수 없기 때문에 목록들을 취합해서 제출하라고 요구했으며 이에 대한 답변을 내일 정보위원회에서 들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국정원의 자료분류는 첩보단계, 정보단계, 전원존안자료 단계 등이 있는데 개인별로 여러 개의 이런 사찰 정보 문건이 존재한다”며 “사찰 대상자로 거론됐던 분들이 정보공개를 청구해서 받아낸 자료들을 보면 이런 것이 다 드러나 있어 실질적으로 사찰정보문건 목록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지수 인턴기자 jisuk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