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김창열의 '물방울'부터 김환기의 '색점'까지

서울옥션 23일 올해 첫 메이저경매

193점 약 120억원 규모 출품

이인문 8폭 '산정일장' 시작가 20억

김창열 대표작 8점, 김환기 뉴욕시대 작품

고송유수관 이인문의 8폭 병풍 '산정일장'이 시작가 20억원에 경매에 오른다. /사진제공=서울옥션




국내 최대의 미술품 경매회사인 서울옥션(063170)이 국내 근현대 및 고미술과 해외 작품 등 총 193점 약 120억원 규모의 작품을 앞세운 올해 첫 메이저경매 ‘159회 미술품 경매’를 23일 강남구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개최한다.

가장 주목해야 할 작품은 단원 김홍도와 함께 도화서에서 활동했던 고송유수관 이인문(1745~1821)의 산수화 8폭 병풍인 ‘산정일장’이다. ‘산정일장’은 낮잠 자고, 차 마시고, 책을 읽는 소박한 선비의 평화로운 일상에 대한 시(詩)를 소재삼아 그림으로 옮긴 시의도(詩意圖)다. 도화서 화원 중에서 실력자만 규장각 소속으로 따로 뽑는 자비대령화원 시험 주제에 등장할 정도로 중요한 주제여서 여러 화가들이 그렸지만, 이인문이 특히 이 분야의 대표 화가로 꼽힌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간송미술관 등에 이인문의 ‘산정일장’이 소장돼 있으나 이번 출품작은 현전하는 것들 중 최대 크기이고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시작가는 20억원으로 이번 경매의 최고가 출품작이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10억원 이상 고가 작품의 거래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미국에서 50여년 만에 환수된 ‘요지연도’ 병풍이 20억원에 낙찰되는 등 희소성 높고 검증된 작품의 경우 수요가 있고, 특히 소장품 구입 예산이 안정적인 박물관 등의 확보 의지가 적극적인 점 등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의 필치는 섬세하고 맑은 채색은 이상향의 분위기를 절묘하게 형성한다. 경기도박물관 등지에서 전시를 통해 선보인 적 있는 작품이다.

추정가 4억8,000만~7억원에 경매에 나온 김창열의 1977년작 '물방울' /사진제공=서울옥션


출품작 프리뷰(사전 전시)가 한창인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가장 관람객이 많이 머무는 곳은 지난 달 타계한 ‘물방울 화가’ 김창열의 시기별 대표작들 앞이다. 평안남도 맹산 출신으로 해방 후 서울대 미술대학에 입학한 김창열은 전쟁 때문에 학업을 중단하고 잠시 경찰생활을 하다 박서보·정창섭 등과 함께 전후 실존의식을 격정적으로 표현한 앵포르멜 미술운동을 펼쳤다. 1960년대 미국을 거쳐 파리로 간 김창열은 1972년 처음 물방울을 그리기 시작해 물방울과 스민 흔적을 달리 배치하고, 신문이나 문자 위에 물방울을 얹는 등 다양한 변주로 시기별 특색을 구축했다.

추정가 2억8,000만~4억원으로 경매에 나온 김창열의 '물방울' /사진제공=서울옥션




수많은 물방울이 간격을 두고 영롱하게 달려 있는 1977년작 ‘물방울’(161.5×115.7㎝)은 추정가 4억8,000만~7억원으로 경매에 오른다. 폭이 약 3m에 이르는 1986년작 ‘물방울’(이하 추정가 2억8,000만~4억원)은 눈물처럼 일렁이는 물방울들이 아련하게 맺혔다. 앵포르멜 추상에서 물방울로 변화하는 과도기 작품인 1968년작 ‘무제’(2억~3억원)는 물방울처럼 동그랗지만 눈송이처럼 하얀 원으로 가득 찬 작품이다. 프랑스 신문 르몽드 위에 물방울을 올려 시대상과의 소통을 꾀한 작품(1,400만~2,500만원)을 비롯해 1,000만원대 종이작품부터 1억원대 캔버스의 물방울까지 다양하다.

박수근의 1950년대 작품 '노상의 사람들'이 시작가 5억5,000만원에 경매에 오른다. /사진제공=서울옥션


박수근의 1950년대 작품으로 알려진 10.5×23.5㎝ 크기의 ‘노상의 사람들’이 시작가 5억5,000만원에 출품됐다. 화강암 같은 거친 질감으로, 가난하지만 소박하고 따뜻한 사람들을 그린 박수근의 대표적 소재는 잎 떨어진 나목과 아낙들이다. 전쟁 징집 직후의 사회상 탓인지 그림에 남성이 등장하는 사례가 적은 편인데, 이 작품은 길가에 앉은 6명의 남성들을 그리고 있다. 곰방대로 담배도 피우고 담소도 나누는 사람들이 제각각의 자세로 공들여 그려졌다.

김환기의 1967년작 '무제'가 추정가 10억~20억원에 경매에 오른다. /사진제공=서울옥션


한국미술 최고가 거래 기록을 보유한 김환기의 작품은 유난히 화사한 색감을 자랑하는 1960년대 중후반 뉴욕 시기 작품이 3점이나 나왔다. 파란 바탕에 빨강·노랑·초록이 색종이 가루처럼 뿌려진 1967년작 ‘무제’(10억~20억원)를 비롯해 고운 분홍빛 배경에 산월을 그린 1966년작 ‘무제’(2억5,000만~4억), 십자 구도로 색감과 번짐효과가 탁월한 1969년작 ‘14-Ⅶ-69 #87’(2억~3억원)이 새 주인을 찾는다.

/조상인 기자 ccs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