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 시간) 미 국채금리가 다시 들썩이면서 나스닥이 2.7% 급락했습니다. 국채금리 상승과 그에 따른 증시 변동은 계속될 수밖에 없는 사안인데요.
이날 뉴욕외신기자클럽 주최로 올해 글로벌 경제전망 행사가 있었습니다. 씨티은행 이코노미스트가 연사로 나섰는데요. 이 소식과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부양책의 현금지급 대상 축소와 국채금리 상황을 알아보겠습니다.
“코로나 이후 회복속도 제각각…글로벌 경제, 기본 시나리오는 노 회복·노 인플레”
캐서린 만 씨티은행 글로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우리는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2%포인트 올렸다. 2021년은 5.2%, 2022년은 3.9%”라며 “올해까지 세계경제는 다중속도의 회복이 이뤄질 것이며 그 결과 세계경제는 매우 취약하다”고 진단했습니다.
다중속도의 회복이란 결국 분야별, 국가별 회복속도가 다르다는 겁니다. 코로나19 이후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일자리와 소득차이가 더 벌어지는 ‘K자 회복’에 대한 얘기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그 연장선이라고 보면 됩니다. 최근에는 미국과 영국 등 코로나19 초기에는 대규모 감염자가 발생했던 국가들이 백신접종에는 앞서면서 향후 경기회복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회복의 속도가 여러 단계(다중속도)라는 것이죠.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기존과 같이 2.3% 수준으로 점쳤습니다. 하지만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움직일 수준은 아니라고 봤는데요. 그는 “올해 인플레이션은 예전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 될 것”이라면서도 “그것이 중앙은행을 움직일 정도의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물론 시장이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게 만 이코노미스트의 생각인데요. 그럼에도 그는 “중앙은행을 겁먹게 하는 인플레이션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계속해서 가격을 올려야 하는데 그들은 (현실적으로) 그럴 수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연장선에서 그는 올해와 내년 세계경제를 바라보는 기본 시나리오가 회복도 없고, 인플레이션도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는데요. 물론 앞으로 미국을 비롯해 주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경제가 나아지겠지만 이는 개선이지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회복이 아니라는 겁니다. 만 이코노미스트는 “기본 가정에서 선진국의 인플레이션은 올해와 내년이 2% 미만이고 신흥국은 3%가량”이라며 “이는 회복도 없고 인플레이션도 없는 것으로 사실 암울한 그림이다. 일부에서 얘기하는 골디락스가 아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세계무역도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았으며 중국도 성장세가 완만해지면서 예전 같이 세계경제의 성장엔진 역할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봤습니다.
코로나19 직접 지원금 대상 축소…정치적 합의지만 의미 있어
이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조9,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에 포함돼 있는 1,400달러 현금지급과 관련해 지급대상을 축소하는데 동의했다는 소식이 흘러나왔는데요.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바이든 대통령이 1인당 7만5,000달러 이상 소득, 맞벌이는 15만달러 이상 버는 경우 지원금이 기존안보다 더 빨리 ‘제로’가 되도록 하는데 동의했다”고 설명했는데요.
앞서 하원이 통과시킨 안은 개인 10만 달러, 맞벌이 20만 달러 이상이어야 지원금이 0원이었는데 부양책을 논의 중인 상원은 개인 7만5,000달러, 맞벌이 15만 달러부터 수령액을 삭감해 8만달러와 16만달러 이상부터는 0원이 되도록 하는 안이 대안으로 제시돼 왔습니다. 바이든이 대상 축소에 동의한 만큼 하원안이 상원 논의안으로 강화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1차적으로 이는 법안 통과를 위한 정치적 합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민주당 내 중도파 상원의원들도 대상을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었죠.
다만, 백악관이 지원금 대상 축소에 동의했다는 점은 추가적인 현금지급은 과도하면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것이라는 지적을 일부 수용했다고 해석할 부분이 있습니다. 이번 부양책 외에도 인프라 투자 같은 대규모 부양책이 대기하고 있다는 측면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정치적으로 합의할 여지가 있는 항목이었다는 뜻이 됩니다. 백악관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어느 정도는 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는데요.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같은 부분을 눈여겨 볼 둘 필요가 있겠습니다. CNBC에 따르면 하원안이 상원안으로 강화하면 150억 달러(약 16조8,300억 원) 정도의 지급액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또 꿈틀대는 국채금리 다시 1.5% 육박
실제 국채금리는 경기회복과 인플레이션 우려에 다시 상승을 시작했습니다. 이날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연 1.497%까지 오르면서 1.5%에 육박했는데요. 지금은 다시 1.48%대로 내려오긴 했습니다.
지난 주 내내 국채 수익률이 이슈였는데, 계속 말씀드리지만 장기전으로 가는 모양새입니다. 지난달 ADP 민간고용이 11만7,000개 증가에 그쳐 시장 예상치(22만5,000개)를 밑돈 데서 나타나듯 여전히 고용이 문제이긴 하지만 존슨앤존슨(J&J) 백신 추가에 5월 말까지 전체 미국민이 맞을 백신이 확보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회복세는 빨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날 나온 연준의 베이지북에서도 기업들이 백신과 일부 고용개선에 경기를 낙관하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죠.
시장에서 연준이 단기채를 팔고 장기채권을 더 사들여 수익률을 평탄화하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얘기가 꾸준히 나오고 있는 만큼 4일 WSJ 행사에서 제롬 파월 의장이 무슨 얘기를 할지가 1차로 중요합니다. 그 뒤로는 16~17일에 있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핵심인데요. 어쨌든 국채금리 이슈는 한동안 계속 주시하면서 같이 가야 할 부분입니다.
/뉴욕=김영필 특파원 susop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