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보다 빠른 미국의 경기회복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미 국채금리가 계속 꿈틀대는 가운데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16일(현지 시간)부터 이틀간 열린다.
시장에서는 이번 FOMC를 주목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추가 부양책 같은 지출 확대로 국채 발행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어떤 입장을 보이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금리 인상의 방향을 알려주는 점도표와 앞으로의 경제 전망도 나온다. 3월 FOMC의 핵심 관전 포인트 세 가지를 짚어본다.
①연준, “국채금리 상승에 안 움직여” vs “추가 조치 기대 여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은 코로나19 대응에 3조 6,000억 달러(약 4,073조 7,600억 원) 규모의 채권을 찍었다. 올해 발행 규모는 약 4조 달러로 예측된다. 올 들어 지난 1월과 2월에 각각 694억 달러와 1,083억 달러어치를 발행했는데 1조 9,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부양책이 통과된 이달에는 발행 규모가 4,140억 달러에 달한다.
여기에 3조 달러가량으로 추정되는 연구개발(R&D)과 인프라 투자 계획도 대기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국채 공급이 늘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경기회복과 백신 접종 확대로 국채금리가 계속 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연준이 매달 80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사들이고 있고 해외 투자가의 국채 매입도 늘고 있다는 점에서 금리가 폭등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이 있다. 실제 올 1월 해외 투자가의 미 국채 보유액은 7조 1,196억 달러로 한 달 전보다 490억 달러(0.7%) 증가했다. 경기회복으로 세수가 늘어 재무부의 채권 발행 규모가 줄어들 수 있다. 연준은 어느 정도의 금리 상승은 경기회복의 신호라고 본다. 이 때문에 연준이 국채금리 상승을 용인하고 기존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레고리 피터스 PGIM 채권전략본부장은 “시장은 연준이 무엇을 할지, 어떤 말을 할지에 너무 큰 기대를 갖고 있다”며 “하지만 채권 매입 프로그램이나 정책을 언제 바꿀지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업계에서는 연준이 단기물을 매각하고 장기채를 더 사들여 전체적으로 수익률을 평탄화하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카드를 언젠가는 활용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가 여전하다. 연준이 이달 말로 끝나는 은행의 자본 규제 완화 조치를 연장해 금융사의 국채 보유 잔액이 줄어들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② “연준 경기 전망 나아질 것”…“인플레이션, 5~7월이 고비”
이날 FOMC에 앞서 발표된 2월 미국 소매판매는 지난달보다 3% 줄어 월가의 예상(-0.5%)보다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은 FOMC 이후 나올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실업률 전망치에 주목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의 경우 연준이 기존 입장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높다. 미 경제 방송 CNBC는 “연준의 성명은 지난번과 거의 같을 것”이라고 점쳤다.
성장률 전망은 상향 조정될 수 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미국의 성장률을 6.9%로 올려 잡았고 모건스탠리는 한술 더 떠 7.3%를 제시했다.
특히 인플레이션 전망 수치는 초미의 관심사다. 월가에서는 5월에 물가 상승률이 최고점을 찍을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액션이코노믹스에 따르면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3.7%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CNBC는 “5~7월이 고비가 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5월에 1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긴축 시점은 경제 전망치를 통해 예측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최대 고용의 수준이라고 언급한 4% 미만의 실업률에 언제 도달하느냐도 따져봐야 한다.
③ 금리 인상 내년으로 앞당겨질 수도
또 하나의 관심사는 앞으로의 금리 인상 방향을 보여주는 점도표다. 지난해 12월 전망에서는 17명의 위원 가운데 5명이 오는 2023년 금리 인상을 예상했고 단 1명만 2022년 인상을 점쳤다. 대부분은 2023년까지 현 금리 수준을 유지하고 2024년에 첫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봤다는 얘기다.
하지만 경기 전망이 급격히 달라지고 있는 만큼 이번 점도표에서 연준이 금리 인상 시점을 앞당길지 주목된다. 릭 리더 블랙록 채권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연준은 내년부터 경제에 타격을 주지 않는 선에서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이라며 “지금부터 시장과 의사소통을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내년에는 연준이 말하는 최대 고용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하지만 이 부분도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반론이 여전하다. 실제 금리 인상이 2023년까지 단행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다. 물가 인상에 대한 공포가 높아지고 있지만 풍부한 유동성이 저축 증가와 부채 축소에 사용되면서 장기 물가의 하락 압력이 되레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뉴욕=김영필 특파원 susop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