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고발당한 임은정 대검찰청 감찰정책연구관이 “감찰부에서 공개하기로 결정한 최소한의 정보를 소개했을 뿐”이라며 “보안을 유지해야 할 감찰 내용을 공개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임 연구관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모해위증 의혹 감찰과 관련된 정보를 잇따라 올려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고발당했다.
임 연구관은 9일 저녁 페이스북에 “시간이 지나면 진실이 밝혀지고 오해가 결국 풀릴 것임을 알기에 답답하지만 인내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저를 매의 눈으로 지켜보며 혹시라도 잘못하면 물어뜯으려 달려드는 사람들이나 언론매체가 적지 않다”며 “그들이 필요에 따라 제 말과 침묵을 침소봉대 거두절미해 사실관계를 호도하고 뉘앙스를 비틀어 결과적으로 사실과 달리 알려지고, 이로 인해 황당한 비난을 받는 경우가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사실관계나 법리를 잘 모르는 보수단체의 고발과 이를 이용해 약방의 감초마냥 수시로 절 불러내는 몇몇 매체들의 악의적인 기사에 답답했다”며 “조응천 선배님조차 물색 모르고 저를 걸고 넘어지는 글을 페이스북에 쓰셨다는 걱정스런 귀띔을 받고 보니 다시 한번 해명하고 짚고 넘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글을 올린 이유를 설명했다.
조 의원은 ‘청와대발 기획사정 의혹 수사’와 관련해 박범계 법무부 장관의 피의사실 공표 문제 제기에 대해 “임은정 검사는 보안을 유지해야 할 감찰 내용을 공개해도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던 법무부가 이 사건에 대해서는 득달같이 감찰 조사를 지시하는 것은 이중잣대”라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임 연구관은 조 의원의 글을 인용하며 “나는 보안을 유지해야 할 감찰 내용을 공개한 적이 없다”고 항변했다. 그는 “사회적 이목을 끄는 중요사건에 대한 오보가 이어져 국민의 알 권리와 오보 대응을 위해 감찰부에서 공개하기로 결정한 최소한의 정보를 소개했을 뿐이다”라고 했다. 이어 “뻔히 알면서 저런 기사들을 왜 쓰나 싶어 의아할 지경”이라며 “그걸 또 굳게 믿는 듯한 조 선배님의 글에 악의적인 기사가 다시 이어질까 우려된다”고 적었다.
임 연구관은 “고발장을 쓰는 분과 기사를 쓰는 분, 공개적인 글을 쓰는 분들께 조금 더 사실관계를 확인해보고 신중하게 썼으면 좋겠다. 그런 기사들이 아니어도 자식 걱정 한가득인 부모님께 늘 죄송하다.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하며 글을 마쳤다.
/조교환 기자 chang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