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0~30대 청년들의 민심 이반이 가속화되면서 청와대가 뒤늦게 청년 문제를 전담하는 ‘청년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켰다.
29일 청와대에 따르면 TF는 이철희 정무수석을 팀장으로 지난 27일 첫 회의를 가졌다. 간사는 김광진 청년비서관이 담당하고 임세은 부대변인 등 10여명의 참모가 참여했다. 기존 청년비서관실 업무를 뛰어넘어 청년 정책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 팀장을 수석급으로 높인 것으로 해석된다.
청와대가 이번 TF를 출범한 것은 지난 4·7 재보궐 선거에서 청년들이 대거 등을 돌린 것으로 확인되면서 20~30대들의 문제에 한층 더 종합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절박함이 생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무총리 소속 청년정책조정위원회가 지난해 12월 청년정책 관련 예산을 16조9,000억원에서 올해 22조원으로 늘리는 내용의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심의·의결했지만 청년 민심을 다독이는 데는 효과를 내지 못했다.
TF의 검토 대상으로는 부동산·가상화폐·백신·취업 등 청년과 관련한 모든 사안이 거론된다. 실제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3일 국무회의에서 “어려움을 빨리 해소해 주지 못하면 청년 시기를 넘어 생애 전체가 불안한 삶에 처할 위험이 있다. 이른바 ‘락다운(봉쇄) 세대’가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의 임기가 고작 1년 남은 상황에서 이제 막 출범한 청년 전담기구로 일자리 등 청년 문제를 해소하기는 역부족일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윤경환 기자 ykh22@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