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코로나 공포·높은 실업수당·보육 공백에…일자리 늘어도 구인난 시달리는 美

코로나 前보다 구인 34% 늘었지만

구직 신청 건수는 13%나 줄어들어

기업들 임금 인상 등 유인책에 적극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 버틀러카운티의 한 맥도날드 매장이 채용시 500달러의 보너스를 제공한다는 표지판을 걸어놨다. 구인난이 심각함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AP연합뉴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콘서트 기획자로 일했던 45세의 론 자만 씨는 코로나19로 인해 1년여 전에 직업을 잃었다. 실업자가 된 그는 주당 750달러 상당의 재난지원금·실업수당과 그간의 저축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월세와 공과금을 내고 나면 남는 것이 없다.

빡빡한 삶이지만 일자리를 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도처에 일자리가 넘치는 탓이다. 특히 물류 창고나 식당 등은 직원을 뽑으려 혈안이다. 자만 씨는 “원래 근무하던 엔터테인먼트 업계로의 복귀를 희망하기 때문에 당분간 정부로부터 수당을 받으며 생활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6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소개된 이 사례는 미국 경제가 빠르게 회복하는 와중에 기업들이 구인난에 허덕이는 현실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정부가 뿌리고 있는 재난지원금·실업수당 등으로 당장 급하게 일을 잡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다.

미 고용 시장은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3월에만 91만 6,000개의 일자리가 추가됐으며, 4월에도 26만6,000개의 일자리가 늘어났다.

문제는 늘어난 일자리를 메울 구직자를 찾기가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고용 관련 연구 기관인 iCIMS는 3월 직원을 고용하려는 잡오프닝(job opening)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지난해 1월 대비 34%나 증가한 반면 구직 신청 건수는 13% 줄었다고 밝혔다. 일자리는 늘어났지만 일하려는 의지가 있는 이들은 줄어든 셈이다.



WSJ는 구인난의 이유로 기존 급여를 넘어서는 실업수당을 제시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실업수당을 받는 이들은 매주 주정부로부터 평균 318달러를, 연방정부로부터 300달러를 추가로 받는다. 시급 15달러짜리 정규직보다 실업수당을 받는 게 더 경제적으로 이득인 셈이다. 실제 지난달 구인구직 사이트 집리쿠르터의 조사에서 ‘구직시 첫 제안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경제적 압박을 느낀다’고 답한 이들은 31%로 2018년(51%)보다 크게 줄었다.

코로나19에 대한 공포도 구인난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 지난달 집리쿠르터의 설문에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업을 원한다’고 답했다. 특히 45%는 코로나19 이후에도 재택근무를 원한다고 했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공포가 큰 물류 창고나 마트·식당 등 사람과의 대면이 필수적인 업종에는 사람들이 취업하기를 꺼린다는 것이다.

자녀의 원격 수업으로 인한 보육 공백도 재취업을 늦추고 있다. 조지타운대의 퓨처에드 싱크탱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미국의 200대 학구(學區) 중 대면 수업을 완전히 재개한 곳은 60%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보육 시설 역시 기존보다 축소된 인원만 수용하고 있는 상태다. 아이를 맡길 곳이 없는 부모들은 재택근무가 가능한 직장을 고집하거나 실업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게 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업들은 임금 인상 등의 유인책을 내놓고 있다. 월마트는 2월 직원 42만 5,000명의 평균 시급을 15달러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아마존도 직원 50만여 명의 시급을 0.5~3달러씩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코스트코는 올해 초 시급을 16달러로 인상한 바 있다. 치킨 업체인 필그림프라이드의 파비오 산드리 최고경영자(CEO)는 기존 직원들을 유지하고 추가 채용하는데 4,000만 달러 이상을 투입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WSJ는 이 같은 현상이 경제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몇몇 기업은 대형 프로젝트에 입찰하는 것을 포기했으며 식당도 일부만 영업을 재개하는 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월마트처럼 채용 확대를 위해 임금을 인상하는 것도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된다는 문제를 낳는다.

/김연하 기자 yeo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