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4월 미국 남동부 지역에 최악의 토네이도가 덮쳐 300여 명의 사망자와 10억 달러 규모의 재산 피해를 남겼다. 당시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서리(Surry) 원자력발전소 1·2호기’는 전력 공급 문제로 일시 중단되는 사태를 겪었다. 인근 지역에도 주민 경계령이 발동되는 등 비상이 걸렸다. 하지만 비상용 발전기가 제때 가동되면서 방사성 물질 유출 등의 사고 없이 무사히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그해 8월에는 버지니아 중부에서 지진이 발생했지만 원전 가동에는 전혀 악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후 서리 원전은 미국 내에서도 자연 재해에 강한, 원전의 안전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고 있다.
서리 1·2호기는 각각 1972년 12월과 1973년 5월부터 미국 웨스팅하우스의 가압경수로 방식을 채택해 상업 운전에 나섰다. 서리 원전은 북미 대륙 최초의 영국 식민지인 제임스타운과 인접해 있어 역사적 상징성도 크다. 이곳에서는 연간 1,410만㎿의 전력을 생산해 인근 42만 가구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 이용률은 미국 평균치(90%)를 웃도는 97%에 달하고 있다. 원전 운영사인 도미니온 에너지는 이곳에 원전 4기를 세울 부지를 확보해 놓고 있어 향후 에너지 수요 증가에 맞춰 원전을 추가 건설할 수 있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최근 서리 1·2호기 수명을 기존 60년에서 80년으로 연장했다. 당초 40년 운영 허가를 받았던 것을 2003년 60년으로 연장한 뒤 이번에 20년을 더 늘린 것이다. 2050년 탄소 중립을 실현하자면 원전 활용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랠프 노샘 버지니아 주지사는 “탄소 없는 전기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반겼다. 미국 내 환경 운동가들도 원전 수명 연장에 별다른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있다. 반면 문재인 정부는 원전의 경제성을 조작해 35년밖에 쓰지 않은 월성 원전 1호기를 무리하게 폐쇄하는 등 무모한 탈(脫)원전 정책을 고집해왔다. 이제라도 탄소 중립을 위해 원전 지원책을 쏟아내는 글로벌 추세에 맞춰 중단된 원전 건설부터 재개하고 노후 원전의 수명 연장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정상범 논설위원 ss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