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에서 모인 68명 고위급 인사들이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지난 2015년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담긴 온실가스 감축 약속, ‘2050 탄소 중립’ 목표에 대한 공동 대응을 촉구했다. 아울러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1위를 차지하는 중국도 이날 코로나19 이후 녹색 회복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의지를 재확인했다.
45개국과 유럽연합(EU)을 비롯해 21개 국제기구 고위급 인사들은 30일 영상 메시지를 통해 파리기후협약 이행 가속화 의지를 재확인했다. 파리기후협약의 핵심 목표는 자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탄소 중립 이행이다. 이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더불어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리커창 중국 총리, 고이즈미 신지로 일본 환경대신 등 주요국 고위급 인사들은 코로나19 이후 포용적인 녹색 회복과 기후변화 행동을 위한 민관 협력을 강조했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이 가장 시급한 중국이 미중 갈등 속에서도 P4G 정상회의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의지를 재확인해 눈길을 끌었다. 서울에서 중국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고 다짐한 만큼 오는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COP26 기후정상회의에서도 파리기후협약 이행이 가속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컨설팅 업체 로디움그룹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세계 온실가스의 27%를 차지했다. 이는 미국(11%)과 인도(6.6%) 배출량을 합친 것보다 많다. 이에 중국도 지난해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아울러 온실가스 배출량 2위인 미국도 지난 달 전력 발전, 자동차 등 부문별 감축 목표를 내걸면서 탄소 중립 시점을 2050년으로 못 박았다. 나아가 바이든 행정부가 국제 무대에서 미국의 리더십 복귀를 예고한 만큼 파리기후협약 이행을 위한 미중 협력 가능성에 이목이 쏠린다. 그동안 미국 등 선진국은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의 감축 의무를 강조하는 반면 중국 등 개도국은 산업화 과정에서 많은 탄소를 배출한 선진국의 의무가 더 크다는 논리를 펴왔다.
탄소 중립이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산림 면적 등을 늘려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글로벌 프로젝트다. 따라서 국가 간 협력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앞서 기후변화 분야 최고 전문기구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2018년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 세계 모든 국가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해야 한다는 특별 보고서를 발간했고, 이는 같은 해 인천 송도에서 열린 IPCC 총회에서 195개국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승인됐다. 미국과 EU 등 선진국이 선제적으로 ‘2050 탄소 중립’을 선언했으며 한국도 지난해 10월부터 동참을 선언했다. 모든 회원국이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10년 대비 약 25%로 감축해야 한다. 산업화 이후 지구 평균 온도가 1도 이상 상승하면서 전 세계 폭염·폭설·산불 등 이상기후 현상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며 해수면 상승에 의해 해발고도가 2~3m인 피지·키리바시 등 남태평양 섬 국가들은 수몰 위기에 처했다.
/김혜린 기자 rin@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