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사진) 경북도지사는 민선 7기 지난 3년의 최대 성과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 부지 확정’을 꼽았다.
이 지사는 28일 도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민선 7기 3년간 도정 운영 핵심 성과 및 향후 도정 중점 추진방향을 밝혔다.
이 지사는 “새바람 행복경북을 실천하기 위해 그 동안 지구 열한바퀴가 넘는 강행군(44만km)을 펼치며, 적지 않은 성과를 냈다”며 5대 주요 성과를 설명했다.
가장 큰 성과는 ‘하늘 길 개척’이 선정됐다.
이 지사는 “신공항 확정은 2014년 대구시가 국방부에 K-2 공군기지 이전 건의서를 제출한 지 6년 만에 이뤄낸 성과로 소멸위기에 처한 지역의 재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하늘 길을 열어 세계와 경쟁하는 초석을 마련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공항 건설에만 10조원이 투입되는 신공항은 단순한 하나의 사회간접자본(SOC)를 넘어 산업, 관광, 교통, 물류 등 전 분야에 걸쳐 지역의 성장지도를 바꿔 놓을 초대형 프로젝트”라고 강조했다.
국가 방역체계 재편에 기여한 ‘경북형 방역’과 ‘도정의 변화와 혁신’도 주요 성과로 꼽혔다.
이 지사는 “코로나19 팬데믹은 분명 위기였지만, 경북 특유의 정신으로 잘 이겨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특히 지난 4월 전국 최초로 시행한 경북형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는 방역과 경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며 국가 방역체계의 재편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맨발 산책, 화공특강, 캐주얼데이, 요리대회, 상상마루 설치 등 기존 관습을 과감히 파괴하는 대신 창의적이고 오픈된 조직을 만들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했다”며 “이런 노력을 통해 정부합동평가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전국 1위의 영예를 안았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 사업비만 1조 원이 넘는 산단대개조와 스마트산단 국책사업 선정 등을 통한 ‘경북의 신성장판 구축',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 등 ‘실용외교 및 초광역 거버넌스 확대’도 5대 주요 성과에 이름을 올렸다.
이 지사는 또 향후 도정 운영 방향으로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와 경쟁하는 글로벌 메가시티 도약’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한 10대 키워드로는 공항과 항만 투포트 시대, 연구중심 혁신으로 4차산업혁명시대 선도, 지방소멸 위기를 경북형 모델로 극복, 뉴노멀시대 관광트렌드 변화 선도, 환동해 바다시대 주도, 대구·경북 1일 생활권 시대 등을 제시했다.
이 지사는 “남은 1년은 어느 때보다 중대한 시간이 될 것”이라면서 “각 분야별 10대 미래 핵심 키워드를 조기에 구체화 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