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열풍이 불고 있으나, 전국 17개 광역(특별) 지방자치단체 중 ESG S(90점 이상)를 받은 곳이 없어 아직까지 지자체의 ESG 인식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세종특별자치시와 광주광역시가 A(80점 이상)을 받아 ESG를 비교적 잘 실천하고 있는 것에 비해 충청북도와 부산광역시는 C(60점 이상)에 그쳐 반성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ESG행복경제연구소가 처음으로 17개 광역(특별) 지자체의 ESG를 평가한 결과, 세종시가 종합평점 82.68점으로 1위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세종시는 환경(E) 79.48점, 사회(S) 87.85점, 지배구조·행정(G) 82.95점을 받았다. 아무래도 신설 도시로서의 장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E:81.65점, S:81.40점, G:77점)는 종합평점 80.65점으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기록했다.
연구소는 이번 평가 과정에서 정부와 지자체의 통계, 보도자료, 대외기관 평가, 미디어 정보 등을 통해 지속 가능성과 국민의 삶에 연계된 정보를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평가 지표는 ESG 글로벌 이니셔티브(UN SDGs, GRI, ISO26000 등)를 기반으로 하되 지자체가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와 삶의 만족도를 평가했다. 분야별로는 환경은 단체장 의지, 기후변화 대응, 폐기물 관리, 친환경 생활, 정부합동평가 등을, 사회는 단체장 의지, 보건·안전, 주거와 생활, 고용과 노동, 사회공헌, 복지, 정부 합동평가 등을, 지배구조·행정은 단체장 공약, 재정건전도, 주민 및 여성참여, 대외평가 등을 각각 분석했다.
이번 평가에서 13개의 지자체는 종합평점 70점 이상의 ESG B등급을 받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B등급 중에서는 경상남도(78.95점/E:76.80점, S:85.10점, G:75.10점), 전라남도(78.29점/E:80.88점, S:79.68점, G:69.75점), 경상북도(78.21점/E:76.18점, S:82.70점, G:76.55점)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이어 울산광역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전라북도,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강원도 순이었다.
하지만 종합평점 60점 이상에 그친 ESG C등급을 받은 곳도 2곳이나 됐다. 충청북도는 종합평점 69.47점·평가등급 C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환경(E) 69.53점, 사회(S) 66.73점, 지배구조·행정(G) 73.45점이었다. 부산광역시는 종합평점 69.97점으로 16위였다. 환경(E) 73.70점, 사회(S) 66.03점, 지배구조·행정(G) 66.55점이었다.
황영기 전 KB금융 회장은 “아직 지자체에서는 ESG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은 게 현실”이라며 “이번 평가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K-ESG’ 모델구축의 좋은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김연명 전 청와대 사회수석은 “지자체 등의 ESG 노력이 기업에 비해 부족한 상황에서 지자체 평가를 한 것은 의미가 크다”고 했다. 이밖에 “지자체에서도 ESG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게 될 것”(이재율 전 경기도 제1부지사), “지자체에 처음 ESG 평가를 한 것은 큰 발걸음”(이찬규 중앙대 교수)이라는 의미 부여도 나왔다.
특히 “평가지표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황용식 세종대 교수), “주민 만족도 조사 등을 추가하면 지표를 보완할 수 있을 것”(심덕섭 전 국가보훈처 차장)이라는 조언도 나왔다.
한편 ESG행복경제연구소는 지난 5월 서울대 환경대학원과 ESG 공동연구, 지수개발·평가 등을 위해 협력하고 인공지능(AI)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ESG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지난 3월 시가총액 50대 기업 ‘ESG 평가 지수’를 발표한데 이어 연말까지 226개 기초자치단체, 내년 초 시총 100대 기업의 ESG 지수를 공개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