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백선엽 장군 1주기를 하루 앞둔 9일 경북 칠곡군 다부동 구국용사충혼비에서 추모행사가 열렸다. 굵은 빗줄기 속에 열린 행사에는 서욱 국방부 장관, 폴 러캐머라 신임 한미연합사령관, 민홍철 국회 국방위원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 9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별도 추모사 없이 헌화와 분향만 하고 경례·묵념으로 고인과 호국영령을 기렸다.
행사 후 다부동 전적기념관을 찾은 서 장관은 방명록에 “영원히 지지 않는 호국의 별 고(故) 백선엽 장군님의 숭고한 정신을 이어받아 강한 안보, 자랑스러운 군, 함께하는 국방을 구현하겠습니다”라고 썼다. 폴 러캐머라 신임 한미연합사령관도 “장군님과 호국영령의 희생을 다 갚지는 못하겠지만, 확고한 동맹을 통해 그 헌신에 보답하겠다”는 글을 남겼다. 이날 행사는 한미동맹재단과 주한미군전우회가 공동주최했다.
추모식에 이어 칠곡호국평화기념관에서는 ‘제10회 한미동맹포럼’이 열렸다. 이날 포럼에는 미국에 거주중인 고(故) 백선엽 장군의 장녀 백남희씨가 참석해 ‘백선엽 장군과 한미동맹’을 주제로 특별연설했다.
고(故) 백선엽 장군은 국군 최초로 4성 장군을 지낸 창군 원로로, 군에서는 6·25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을 사수한 다부동 전투 승리의 주역이자 ‘전쟁영웅’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일제 강점기 때 간도특설대에서 활동했던 이력이 있어 생전부터 친일인사라는 비난을 받아왔으며,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로부터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을 받기도 했다. 그는 지난해 7월 10일 향년 100세로 타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