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관호 신임 서울경찰청장은 9일 “바로 눈앞에 반드시 극복해야 할 코로나19 상황이 있다”며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과 방역적 치안활동을 통해 국민 안전을 지켜나가자”고 말했다.
최 청장은 이날 서울경찰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이같이 밝히고 “팬데믹(세계적인 유행병)을 틈타 급증하는 약자 대상 범죄에 강력히 대응하고 피해자의 처지를 내 일처럼 여겨 명실공히 ‘국민 중심 책임수사’를 실현해달라”고 주문했다.
그는 “예외 없는 공평함과 일관성은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일수록 빛을 발하는 가치이자 시대정신”이라며 “편법·탈법의 가면을 쓰고 서민의 삶을 파괴하는 반칙·부조리에는 추상같은 잣대로 원칙을 적용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수호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최 청장은 신속한 보고와 정확한 상황전파의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그는 “경찰 전체가 한 몸처럼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경찰청과 시·도청, 경찰서, 지구대·파출소로 이어지는 유기적 관계를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며 “신속한 보고와 정확한 상황전파가 그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정확한 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잘못된 의사결정을 낳고 국민의 불신까지 초래할 수 있는 사실 왜곡이나 허위·축소보고는 결코 있어선 안된다는 점을 각별히 유념해주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용구 전 법무부 차관의 택시기사 폭행사건을 부실수사한 것으로 드러나 대국민 사과를 한 경찰의 과오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풀이된다.
최 청장은 이달부터 전면 시행된 자치경찰제와 관련해서 “서울시의 행정력에 서울경찰의 치안력이 결합함으로써 시민이 체감하는 안전 수준은 한 차원 높아질 것”이라며 “서울의 자치경찰 모델을 글로벌 표준으로 만들어보자”고 당부했다.
1991년 간부후보생 39기로 경찰에 입문한 최 청장은 서울 서초서장과 전남지방청장, 광주지방청장, 경찰청 기획조정관 등을 역임했다.
경찰 내 대표적인 기획통으로 꼽히는 그는 지난달 28일 치안정감으로 승진한 데 이어 지난 7일 서울경찰청장에 내정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