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콥 주마 대통령 구금에 항의하는 시위로 촉발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대규모 폭동과 약탈이 수도 요하네스버그까지 확산하며 더욱 거세지고 있다. 동남부 항구도시 더반의 LG전자 공장은 약탈과 방화에 전소됐다.
12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시위는 나흘 전부터 주마 전 대통령의 고향인 콰줄루나탈주를 중심으로 벌어지다가 지난 주말 경제 중심도시 요하네스버그로도 확산했다. 요하네스버그가 있는 하우텡에서 4명, 콰줄루나탈에서 2명 등 6명이 사망하는 등 피해가 잇따르자 군부대가 긴급 배치됐다.
남아공 국방군은 이날 언론에 배포한 성명에서 "(경찰 등) 사법 집행 기관을 보조하고 소요를 진압하기 위해 하우텡과 콰줄루나탈에 병력을 배치하는 관련 절차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앞서 이들 지역에서 상점 수십 곳이 폭도들에게 털린 가운데 콰줄루나탈주의 주도인 피터마리츠버그에선 한 대형 쇼핑몰의 지붕이 큰 화염에 휩싸이고, 요하네스버그에서도 한 대형마트가 약탈당하는 모습이 고스란히 방영됐다.
남아공에 진출한 한국 기업 피해도 발생하고 있다.
더반 산업단지에 위치한 LG 공장은 이날 새벽 약탈을 당한 데 이어 오후에는 누군가 불을 질러 전소됐다. LG 관계자는 “대사관에 사건 발생을 알리고 현지 정부, 경찰, 소방 당국까지 연락해 경력 투입과 함께 진화를 요청했지만 시위대가 현장에 있는 관계로 소방대 투입이 어렵다는 말만 들었다”고 말했다.
더반의 다른 한국 업체들도 약탈을 당했다. 주남아공 한국대사관 측은 “더반 지역 등에서 이동을 자제하고 이날 가급적 영업을 중단해달라”고 당부했다.
요하네스버그 시위대는 버스와 철도 서비스도 중단시키고 도심에 바리케이드를 쳐 통근자 수만 명의 발을 묶기도 했다. 마트 등에 대한 약탈은 남서부 휴양도시 케이프타운 외곽까지 번졌다.
경찰은 지금까지 폭동, 방화, 약탈 등에 가담한 219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은 지난 11일 대국민 담화에서 델타 변이에 따른코로나19 3차 확산에 따라 제4단계 봉쇄령을 2주간 추가 연장하면서 폭력 시위자에 대해 엄중 처벌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번 약탈 사태는 봉쇄령 장기화에 따른 주민 생활고의 측면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남아공의 실업률은 32.6%에 달한다.
한편 주마 전 대통령은 재임기간(2009∼2018)의 부패혐의 조사를 위한 사법위원회에 출석하라는 헌법재판소의 명령을 거부하다가 구금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