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방일과 한일 정상회담이 최종 무산된 뒤에도 한일 관계 개선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20일 한 라디오 방송을 통해 “대통령이 전날 마지막 결정을 하면서 정말 진심으로 아쉽다는 표현을 했다”고 전했다. 박 수석은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상황이 이렇게 됐지만 양국 정상이 언제든 만나길 바란다고 말했다”며 “실무적 협상을 ‘계속해 나가자’라는 표현이 아니라 ‘해 나가라’라며 강력한 의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박 수석은 문 대통령의 방일이 결국 무산된 배경과 관련, “한일 간 현안에 대해 막판까지 아주 접근했지만 성과로 발표하기에는 약간 부족했다”며 “국민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변수가 막판에 생겼다. 국민 정서를 무시할 수 없었던 것도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소마 히로히사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의 부적절한 발언을 겨냥한 언급인 셈이다.
박 수석은 이날 또 다른 라디오 방송에서도 “문 대통령이 임기 안에 (한일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계기를 만들 의지가 강력하다”며 “실무 협의를 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진척이 있었던 만큼 스가 요시히데 총리와 일본의 의지도 강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실무를 맡고 있는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일본에 소마 공사 망언과 관련한 응당한 조치를 재차 요구했다. 일본 정부의 조치를 정치·외교적 화해 표시로 삼아 정상회담 불씨를 이어가 보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최 차관은 이날 한일·한미일 외교차관 협의를 위해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일 간 상당히 의견 접근이 있었으나 정상회담 성과로 올릴 만큼 완결하지 않았다”며 “(소마 공사 발언이) 상당히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최 차관은 “발언의 본질은 입에 담을 수 없을 정도였고 그것이 그들의 소위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면 큰 문제”라며 “우리가 요구했듯 응당 조치가 곧 있을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야당은 청와대와 정부가 이번 정상회담 무산을 대선을 위한 반일 감정 자극으로 끌고 갈 가능성을 지적했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지난 총선 당시 반일 선동으로 정치적 이익을 보더니 내년 대선을 앞두고 또다시 반일 감정을 자극하려는 것 아닌지 심히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소마 공사와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의 발언을 동시에 언급하며 “중국에 대해선 외교부가 뜨뜻미지근한 경고장을 보냈고 일본에 대해선 집권 여당 인사까지 총 가세해 날 선 반응을 내놓았다”고 날을 세웠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