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가 거침없이 오르고 있다. 특히 의식주 물가가 고공행진을 하면서 국민들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 2012년 4월 이후 9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5월(2.6%) 수준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9.6%나 뛰었다. 전세 물량 품귀 영향 등으로 집세도 1.4% 상승해 2017년 11월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정부는 애초 하반기에는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7월 물가가 이미 큰 폭으로 오른 데다 폭염과 유가 상승세가 겹치면서 올해 물가를 목표치(1.8%) 이내로 관리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에서는 물가 상승세를 심상치 않게 받아들이고 있다. 정부도 그동안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절하하던 데서 벗어나 이날 처음으로 ‘물가 상방 압력이 지속 확대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물가가 전반적·지속적으로 오르는 인플레이션이 코앞으로 다가왔다는 뜻이다. 정부는 뒤늦게 “총력 대응” 운운하지만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다. 문재인 대통령까지 나서 “특별히 살피라”라고 지시한 계란 값 하나도 몇 달째 잡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물가가 오를수록 염려되는 것은 연일 최고치를 갈아 치우며 1,700조 원대로 불어난 가계 부채다. 시장에서는 이르면 이달 중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도 올라 가계 부채 상환에 비상이 걸린다. 만일 정점으로 치닫고 있는 집값이 꺾이기라도 하면 가계 부채 폭탄이 금융권을 강타할 수도 있다. 이 와중에 정치권에서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표를 얻기 위한 돈 풀기 경쟁이 치열하다. 원자재 등의 공급 부족에 코로나19에도 꺾이지 않는 수요가 겹친 상황이다. 이런데도 여권이 선거를 의식해 현금을 더 살포하는 선심 정책을 펴면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될 것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