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예비 후보가 검찰총장 시절 고발을 사주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여권 대선 주자들이 ‘대형 게이트’로 규정하며 집중 공세에 나섰다. 야당의 일부 대선 주자도 “해명이 필요하다”며 윤 후보에 대한 압박에 동참한 가운데 윤 후보는 “있으면 (증거를) 대라”고 맞섰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 측 ‘열린캠프’는 3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윤 후보가 부하를 통해 청부 고발을 도모했다면 그 자체가 검찰 권력을 사유화하는 끔찍한 검찰 농단이자 검찰과 국민의힘이 연계된 국기 문란 대형 게이트”라며 “공수처 수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세균 후보도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충격적인 대형 게이트로 갈 가능성이 크다”며 공세에 나섰다. 야당 경선 경쟁 주자인 유승민 후보와 최재형 후보도 “의혹 규명은 필요하다”는 입장을 공공연하게 밝혔다. 유 후보는 “검찰총장이 모르는 상태에서 검찰 중간 간부가 그렇게 할 수 있었겠나 싶다”고 말했고 최 후보는 “당시 윤 후보가 고발하도록 지시하거나 묵인했다면 이는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여야 안팎의 공세에 윤 후보 측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시절에 이러한 일이 가능했겠느냐는 취지로 반박했다. 윤 후보는 “이미 지난해 1월 정권 비리를 수사하던 검사뿐 아니라 그 입장을 옹호한 검사들까지 모두 보복 인사로 내쫓아서 민심이 흉흉했다”며 “뭔가 고발해도 이 정부에 불리한 사건은 수사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윤 후보는 또 “피해자가 고소해도 수사를 할까 말까인데 야당이 고발하면 더 안 할 것”이라면서 “사주한다는 게 상식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캠프의 총괄실장을 맡은 장제원 의원도 “당시만 해도 울산시장 선거 개입 사건, 조국 사건으로 추 전 장관이 보복 학살 인사를 했던 시기”라며 “경선이 시작된 상황에서 이렇게 황당한 보도를 가지고 윤 후보를 죽이려 하는 것은 정치 공작이고 배후가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윤 후보는 ‘채널A 사건’도 거론했다. 그는 “채널A 사건을 검언 유착이라고 했지만 1년 넘게 한 재판에서 드러난 게 뭐가 있느냐”며 “담당 기자는 무죄가 선고됐고 선거를 위한 권언 정치 공작으로 드러나지 않았나. 이런 거 한두 번 겪은 거 아니잖나”라고 반문했다.
한편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윤 후보의 청부 고발 의혹과 관련해 대검찰청에 신속한 조사를 지시했다. 박 장관은 이날 출근길에서 “검찰 전체의 명예가 걸린 사안”이라며 “가능한 한 신속히 조사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김오수 검찰총장이 대검 감찰부에 진상 조사를 지시한 지 단 하루 만에 나온 발언이라 법무부·대검이 합동 감찰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박 장관은 또 해당 의혹의 핵심 인물로 꼽히는 손준성 당시 대검 수사정보정책관(현 대구고검 인권보호관)에 대해 업무 배제 가능성도 시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