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대선 예비 후보가 6일 공정거래법 공시대상 기업집단(자산총액 5조원 이상)에 대해 ‘고용 연계형 직무·직업 교육 훈련’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공약을 발표했다.
원 후보는 6일 국회 소통관에서 혁신성장 3호 공약 ‘더 큰 내일 일자리 정책’으로 이같은 방안을 밝혔다. 기업집단에 교육 훈련을 의무화하는 대신 기업 활동을 제약하는 다양한 규제들을 합리화하겠다는 것이 원 후보의 구상이다. 그는 “반도체·데이터과학·소프트웨어 분야 등은 현재 오히려 구인난에 봉착해 있다”며 “대학과 민간의 직업 훈련을 통한 일자리 공급이 혁신 기업과 산업 수요의 양적·질적 기대를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 후보는 구글·애플·JP모건체이스 같은 기업들이 운영하는 기업 대학을 사례로 제시했다. 이들 기업 대학은 향후 5년 정도의 인력 수요를 예측한 후 전문적인 직무·직업 교육을 행하고 우수한 교육 이수자를 직접 채용한다고 설명했다. 원 후보는 “고용 연계형 직무·직업 교육 훈련은 민간 대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 중 가장 귀하고 가치 있는 으뜸 활동”이라며 “혁신 기업과 산업에서 경험을 해야 혁신 생태계 내에서 활동 할 수 있다. 혁신 대기업이 그 기회의 장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원 후보는 중견기업법 이상의 적용을 받는 민간 기업이 고용 연계형 직무·직업 교육 훈련을 하는 데 파격적인 종합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규제·세제·금융·정책을 종합해 민간 기업의 고용 창출 노력을 입체적으로 뒷받침 하겠다”며 “‘더 큰 내일 일자리 특별법’을 만들어 원스톱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과 연계 또는 단독으로 기업대학을 설립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파격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원 후보는 미래 신산업 분야의 벤처 기업과 스타트업에 고용 연계형 투자를 대폭 확대하겠다는 복안도 밝혔다. 이와 관련해 원 후보는 싱가포르투자청의 해외의 스타트업 투자 사례를 들었다. 이는 디지털 분야는 5년, 바이오 분야는 7년 동안 고용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1명 고용 당 정해진 금액을 투자하는 방식이라는 설명이다.
원 지사는 앞서 내놓은 혁신성장 2호 공약 ‘미래 신산업 육성 정책’과 스타트업 고용 연계형 투자를 연결한다는 구상이다 .원 후보는 앞서 미래 신산업 육성 정책 대상으로 △미래형 에너지 △생명과학·의료 △데이터·인공지능 △초고도화 교통 인프라 △항공우주 분야 등을 거론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